지진 대피 골든타임 통보 앞당긴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최근 일본에서 지진이 잦아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 4월 14일 밤과 16일 새벽 일본 규슈 구마모토 지역에 규모 6.5와 7.3의 강진이 잇따라 발생했다. 우리나라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조산대에서 벗어나 있어 지진과는 무관하다고 안심하기 쉽다. 그러나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곳은 없다. 한반도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큰 지진이 발생한 적이 있다. 1978년 9월 충북 속리산 부근에서 규모 5.2의 지진이 발생한 기록이 있다. 2014년에는 충남 태안군 해역에서 규모 5.1의 지진이 있었다.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관측됐던 점을 고려하면 한반도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문제는 지금의 과학기술로는 지진이 언제 일어날지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이다. 수십 초의 짧은 순간에 발생한 진동만으로도 피해가 엄청나기 때문에 대비가 어려운 자연재해다. 지진이 발생했을 때 최대한 빨리 정보를 전달해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것이 피해를 줄일수 있는 효과적인 대비책이다.

기상청 '지진조기경보 서비스'

피해 최소화 위해 지난해부터 시행
기상청은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지난해부터 ‘지진 조기경보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났을 때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국민에게 전달하는 서비스다. 지진 발생 시 많은 피해를 주는 S파가 도달하기 전에 속도가 빨라 먼저 도착하는 P파를 관측해 조기경보를 발령하는 방식이다. 조기경보를 받은 국민은 지진의 진동이 언제 도착할지, 얼마나 커다란 진동이 올지 알 수 있다.
  대규모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일본은 2007년부터 지진 조기경보 서비스를 도입했다. 최근 일본에서 지진 조기경보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지진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기 전, 5초 정도의 시간만 확보해도 긴급대피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경보를 통해 단 몇 초만 확보되더라도 많은 국민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얘기다.
  기상청은 현재 50초 이내인 지진 조기 경보시스템의 통보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 중이다. 진앙지의 위치와 규모, 현재 위치의 진도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지진관측망을 보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진 재난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KTX와 같은 고속철도를 정지시키거나 속도를 줄여 대형 참사를 방지하고 반도체산업이나 디스플레이산업 등 첨단산업에 미치는 영향도 최소화해 경제적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윤화 기상청장은 “역사 기록에도 있듯이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지진이 우리나라에서도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며 “진도 정보를 제공하는 지진 조기경보 서비스는 정부 3.0 모델에 최적화된 국민의 안전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라고 말했다.

기사 이미지

한진 기자 jinnylamp@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