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총선 후보자들 평균 선거비용 1억2116만원…'빵원' 신고한 후보도

중앙일보

입력

4·13 총선에 출마했던 후보들은 선거를 치르는 데 돈을 얼마나 썼을까.

정답은 평균 1억2116만원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0일 제20대 총선에서 253개 지역구에 출마했던 후보자 943명이 제출한 ‘정치자금 수입ㆍ수출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후보자들의 신고한 선거비용의 평균액이 바로 1억2116만원이었다. 선거비용제한액은 유권자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지역구별로 조금씩 차이가 난다. 그리고 그 제한액의 평균을 내면 1억7534만원이었다. 결국 후보자들은 평균적으로 제한액 대비 69.1% 정도의 선거비용을 쓴 셈이다.

그럼 가장 돈을 많이 쓴 후보와 적게 쓴 후보는 누굴까.

기사 이미지

정답은 2억6360만원을 신고한 새누리당의 엄용수(밀양-의령-함안-창녕) 당선자와 무소속 전창섭(부산 사하갑) 후보였다. 엄 당선자는 2억6360만원을 썼고, 전 후보는 선거비용을 0원으로 신고했다. 반면 모든 지역구를 통틀어 유일한 단독출마 후보였던 새누리당 이군현(경남 통영-고성) 의원도 2975만원의 선거비용을 썼다고 신고했다.

이번에 후보자들이 신고한 선거비용들 중에서는 유난히 홍보용 단체문자메시지 발송 비용이 많았다. 발송건수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대부분 후보들이 한 차례 문자메시지 발송에 100만~300만원 정도의 돈을 썼다고 신고했는데, 이런 단체 발송을 5~6차례 한 후보자들도 적지 않았다.

기사 이미지

한편 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이 후보들 평균 선거비용이 1억5458만원으로 가장 많은 돈을 쓴 것으로 집계됐다. 그 뒤는 새누리당(1억4665만원)-국민의당(1억1781만원)이었다. 이에 비해 정의당 후보들은 선거비용(평균 6554만원)을 훨씬 덜 쓴 것으로 나타났다.

선관위는 지난달 25일부터 선거비용ㆍ정치자금 허위 회계보고나 불법 지출 등 위반혐의에 대해 집중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위반 사항을 신고하는 신고자에게는 최고 5억원의 포상금도 지급한다. 신고는 선관위 대표번호(1390번)으로 전화를 통해 가능하다.

남궁욱 기자 periodist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