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발전업계 “전력거래 계약제 도입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민간 발전기업들로 구성된 한국집단에너지협회가 “생존을 위해 필요한 제도를 개선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산자부 초청 간담회서 요청

한국집단에너지협회는 산업통상자원부 우태희 제2차관을 초청해 ‘집단에너지업계 최고경영자(CEO) 간담회’를 18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었다. 한국집단에너지협회장인 유정준 SK E&S 사장을 비롯해 이기만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 김응식 GS파워 사장 등 업계 및 정부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했다.

강연자로 나선 우태희 제2차관은 “신기후체제 출범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계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집단에너지업계가 과다한 초기투자, 낮은 판매가격, 수익기반 미비로 경영이 어렵다”며 “에너지 프로슈머와 친환경 에너지타운 등의 신사업 모델로 극복하자”고 제안했다.

집단에너지업계를 대표하는 CEO들은 “경영 상의 어려움으로 정부의 강력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실제 35개 집단에너지사업자 중 20여 개가 만성 적자로 심각한 경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집단에너지업계는 ‘전력거래 계약제도’의 도입을 적극 요청했다.

석탄발전에 비해 친환경적인 열병합발전소가 생산한 전력을 전기판매업자인 한국전력에 판매해 시장가격 변동과 관계없이 최소한의 투자 보수율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것이다. 한국전기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열병합발전소가 8425억원의 사회·환경적 편익(2014년 기준)을 만들어 낸 것으로 조사됐다.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사회나 환경에 기여한 정도를 측정해 열병합발전을 지원한 사례가 있다.

이에 우 차관은 “온실가스 목표 달성을 위해 집단에너지 업계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박성민 기자 sampark27@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