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성한 기획…청소년들 외면|2회 청소년 공연예술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국제청소년의 해를 맞아 지난 5월 한달동안 국립극장에서 열린 제2회 청소년공연예술제는 작년에 비해 참가규모가 2배이상 늘어났고 행사내용도 다채로와졌으나 전체적인 기획의 엉성함과 TV방송국의 생색위주의 내용없는 기획 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노출했다.
2백12개단체 1만2천여명의 참가와 합창·무용·연극·발레·교향악·뮤지컬을 비롯해 국악·농악·마당놀이·인형극 등 현대와 전통공연예술이 총망라된 이번 잔치는 청소년들의 참여프로그램만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을 뿐 관람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이 관람하기에 부적당한 것을 억지로 수집한 듯한 인상을 주었고 일부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객석이 텅 비었었다. (국립극장측의 관람객 집계 28만여명)
그런대로 빛을 보았던 것이 도랑청소년극단의 『방황하는 별들』과 국립발레단의 『호두까기인형』 등.
광장에서 있었던 『젊음의 행진』 『조용필과 함께』『팝콘서트』 등은 단순히 TV방송국스튜디오를 국립극장으로 옮겨온 듯한 느낌이고, 8∼13일까지 대극장에서 막을 올렸던 연극협회의 뮤지컬 『돈·키호테』는 1천7백만원의 지원금에도 불구하고 3천명의 학생동원에 그쳤다.
또 『돈·키호테』의 공연기간중인 10일에는 합창무대가 같은 장소에 끼여들어 무대세트를 뜯어내는 소동을 빚기도 했다.
25일 하오 4시부터 4시간여에 걸쳐 소극장에서 무대가 마련된 완창판소리 흥보가의 경우 그 판소리의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소란스러운 바깥 놀이마당의 환경때문에 청소년들에게는 걸맞지 않은 프로그램이 되어버렸다.
24-26일 공연된 마당놀이 『이춘풍전』은 평양기생과의 주색잡기에 가산을 탕진하는 이춘풍의 이야기. 이미 여러번 재탕됐던 이 마당극이 청소년들에게 어떤 영향을 줄지 걱정된다. 『호랑이놀음』 『북청사자놀음』 『봉산탈춤』 등이 쉴새없이 공연됐던 놀이마당은 동네노인들의 경로잔치무대로 변했다. 청소년들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 행사의 모든 프로그램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대·소극장, 놀이마당, 실험무대, 광장 등 국립극장안에서만 열렸다. 이 때문에 서울의 청소년만 청소년이고 서울의 어린이만 어린인가하는 불평도 있었다.
서울에 사는 어린이라 하더라도 복잡한 시내의 교통사정 때문에 국립극장에 가 보기란 쉽지 않다. 어린이 노래자랑 같은데는 부근의 꼬마들이 몰려들어 동네잔치처럼 소란스러웠다.
결국 이 행사는「크게 집중적으로」보다는 「작게는 흩어져서」했어야 보다 알차고 효과적이었을 것이다.
공연예술에의 접촉기회를 확장시키려면 공연단체로 하여금 학교나 지역 순회공연을 하도록 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서울과 지방의 문화격차 해소라는 점에서도 서울에서의 집중공연은 개선되어야할 것으로 보인다. <양헌석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