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이한구 이번엔 경선일정 놓고 신경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기사 이미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오른쪽 둘째)가 2일 국회 의원총회에서 황진하 사무총장(오른쪽)과 이야기하고 있다. 김 대표는 이날 회의에서 공천위 활동의 지연 문제를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 조문규 기자]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이한구 당 공천관리위원장이 이번엔 경선 일정을 놓고 2일 신경전을 벌였다. 김 대표는 4·13 총선 후보를 확정하기 위한 경선 일정을 최대한 앞당겨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이 위원장은 실무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버티면서 줄다리기를 하는 양상이다.

김 대표 측 “경선 최대한 앞당겨야”
이 위원장 “선거법 처리 늦어 불가능”
비박계 “전략공천 확대 의도” 의심

 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휴대전화) 안심번호 추출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데 공천관리위원회 활동이 지연되고 있다”고 말했다고 복수의 참석자가 전했다.

한 참석자는 “공천위가 24시간 가동돼도 모자란데 1일에는 회의를 갑자기 취소하는 등 지지부진한 데 대한 김 대표의 불만이 느껴졌다”고 전했다. 1일 공천위는 오전 10시30분, 오후 2시로 회의 시간을 옮기다 결국 취소하고 말았다.

공천위 관계자는 “이 위원장이 회의를 갑자기 취소하거나 뭔가 더 논의하려다 말고 중단시키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고 주장했다.

 공천위는 2일엔 오전부터 여의도 당사에서 회의를 열고 165개 지역 525명의 공천 신청자 면접 결과를 토대로 경선 일정을 논의했다.

이한구 위원장은 회의 중 기자들과 만나 “국회에서 선거법도 제때 처리하지 않고 있는데 무슨 일정을 밝히란 거냐”며 “앞으로 열흘 동안은 중요한 발표는 없다”고 했다. 우선추천지역 선정은 물론 주요 경선 일정조차 확정하기 어렵다는 취지였다.

다른 공천위원은 “이르면 이번 주말부터 경선 지역과 경선 참여자를 정하고 9~10일께 서울 서초갑 등 경쟁이 치열한 곳부터 경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지만 이 위원장은 “희망사항일 뿐 그렇게 빨리 안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을 두고 비박계 의원들 사이에선 이 위원장이 경선 일정을 최대한 빠듯하게 만들어 사실상 ‘전략공천’ 권한을 휘두르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의 목소리도 나온다. 경선을 치르지 않아도 되는 우선추천지역을 확대하려는 의도가 숨어 있단 거다.

 공직선거법상 선거일 30일 전까지만 당원을 대상으로 한 필승결의대회 등의 대규모 행사를 열 수 있다는 점도 공천 신청자들이 초조해하는 부분이다.

 지지층 결집을 위한 이런 행사는 보통 당협위원장들이 해오곤 했다. 4·13 총선일에서 역산하면 3월 14일까지만 가능한데 현재 새누리당 당협위원장은 대부분 공석이다. 공천 신청자가 없는 호남의 일부 지역을 제외하곤 공정 경선을 위해 기존 당협위원장들이 모두 사퇴했기 때문이다.

경선 일정이 속도를 낸다면 공천이 확정된 후보들에게 당협위원장 권한을 주는 것이 가능하겠지만, 지금으로선 단독 공천 신청자들조차 당협위원장을 맡고 있지 않아 이런 행사들을 하지 못하고 있다.

글=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사진=조문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