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청 노인 20% 우울증… 치매로 오인 받기도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노인성 난청을 겪는 환자들의 대부분은 겉으로 보기에 건강상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상대방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게 되면서 사람들과의 대화가 단절되고 소외감도 많이 느끼게 된다. 또, 의사소통의 문제 뿐 아니라 정서적으로도 문제가 될 수 있다. 간혹 청력이 나빠져서 엉뚱한 말이나 행동을 하게 되는 상황을 치매로 오인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다. 외국의 경우 난청이 있는 노인 중 20%가 우울증에 걸렸다는 보고도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45세 이상의 성인 4% 가량은 청각장애가 있으며, 65~75세 사이의 성인 중에는 30~35%, 75세 이상에서는 50% 이상이 난청을 가지고 있을 만큼 흔한 질환이 바로 노인성 난청이다. 만일 부모님이 말귀를 잘 알아듣지 못한다면 정확한 청력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50% 이상이 보청기 착용 후 자신감 향상
노인성난청에 대처하는 가장 현명한 자세는 꾸준한 청력관리와 개선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노력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귀 전문 이비인후과를 방문해 전문의와의 상담과 함께 정확한 청력을 측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미국 전국노인협회에서 50세 이상 2,300여명의 난청인을 대상으로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은 난청의 결과>에 대한 연구를 실시한 결과를 보면, 보청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후 삶의 질이 놀랄 만큼 개선되었으며, 50% 이상이 가족들과의 관계는 물론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만일 노화로 인해 청력이 떨어진 노인성 난청이라면 보청기를 착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노인성 난청의 대안이다.

귀 모양, 난청 정도, 생활환경 등을 고려한 보청기 선택이 필수
자신에게 맞는 보청기를 고르기 위해서는 전문청각사의 정확한 검사와 전문의의 올바른 처방이 필요하다. 난청이 있다고 무조건 보청기를 착용하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귀에 다른 문제로 인해 생긴 난청은 아닌지 정확한 검사와 진료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
또 보청기는 고가의 제품이므로 단순히 가격이나 브랜드만 보고 골라서는 안 된다. 보청기는 착용형태에 따라 고막형, 외이형, 귓바퀴형, 귀걸이형 등 4가지가 있는데 마음대로 고르는 것이 아닌 본인의 청력상태에 따라 착용형태가 달라진다. 고막형은 안 보이는 장점이 있지만 고막형 보청기는 크기가 작은 대신 증폭량이 적은 단점이 있고, 귀걸이형은 크기가 큰 대신 증폭량이 많은 장점이 있다. 귀 모양, 난청 정도, 생활환경 등을 고려한 후 본인의 귀 상태에 맞는 보청기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청기 착용 후 제대로 된 관리를 받지 못할 경우 보청기 착용에 실패할 확률이 크다, 보청기 착용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보청기를 통해 들리는 소리가 익숙해지도록 옆에서 도와주고, 보청기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착용 후 귀의 난청이 심해진 것은 아닌지에 대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도움말=소리귀클리닉 임혜진 원장

[인기기사]

·"껍질 얇고 속은 꽉 찬 자몽, 지금이에요" [2016/02/04] 
·전문병원? 1·2·3차 병원? 환자는 헷갈려 [2016/02/04] 
·지카 바이러스 그것이 알고 싶다. [2016/02/04] 
·아름다운나라피부과, 여드름 흉터 새 치료법 선보여 [2016/02/05] 
·난청 노인 20% 우울증… 치매로 오인 받기도 [2016/02/05] 

편집팀 기자 webmaster@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