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서울시교육청, 김승유 하나고 이사장 등 검찰 고발

중앙일보

입력

서울시교육청은 15일 자율형사립고인 하나고가 남녀 학생의 성비를 조정하기 위해 입학성적을 조작한 의혹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교육청은 김승유 하나학원 이사장 등 학교·법인 관계자 9명을 검찰에 고발할 예정이다.

이날 공개된 서울시교육청의 특별감사 결과에 따르면 하나고는 지난 2011학년도부터 2013학년도까지 서류전형과 면접 이후 합격자들에게 가산점(보정점수)를 주는 방법으로 남녀학생의 성비를 맞춰 왔다. 이를 통해 합격 여부가 바뀐 학생은 매년 30여명씩 총 90명이다. 시교육청은 "구체적인 점수 부여 기준 없이 0.1점~5점 가량의 가산점을 합격권 밖의 남학생에게 줬다"고 밝혔다.

교육청은 하나고가 지난 5년간 신규 교원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공개채용 절차를 지키지 않고도 절차를 거친 것처럼 허위보고했다고 지적했다. 하나고는 학교에 근무하던 기간제 교사 중 일부를 근무성적 평가와 면담 만으로 정교사로 전환했다. 또 2011년 이명박 정부 때 유력 인사의 자녀가 연루된 학교 폭력사건을 알고도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를 열지 않은 채 담임 교사가 종결 처리했던 점도 문제 삼았다.

교육청은 하나고의 수의계약 관행도 적발했다. 교육청 관계자는 "하나고가 지난 5년 간 공개경쟁입찰 규정을 어기고 수의계약한 금액이 총 140억원에 이른다"며 "하나그룹 임직원이 출자한 인력파견업체에 90억여원의 일감을 몰아줬다"고 지적했다. 국가계약법에 따르면 5000만원 이상의 계약은 공개경쟁 입찰해야 한다

교육청은 감사 결과에 따라 김승유 이사장과 하나고 교감·교장·행정실장 등을 9명을 사립학교 법 위반한 혐의로 검찰에 고발할 예정이다. 교육청은 서울시의회가 이 학교 교사의 제보에 따라 관련 의혹을 제기한 이후 지난 9~10월 하나고를 특별 감사를 진행했다.

이같은 감사결과에 대해 하나고는 반발하고 있다. 하나고 관계자는 “신입생 선발은 전형위원회의 집단협의를 통해 공정하게 이뤄졌다. 남녀 학생의 성비 균형을 위한 것이지, 성적 조작은 아니다"고 밝혔다. 학교 폭력 사건 처리에 대해선 "학교에선 사건이 발생한 지 약 1년 뒤에 알게되고, 이미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이 화해해 피해학생이 처벌을 원하지 않은 상태였다”고 설명했다. 교사 채용, 수의 계약에 대해선 “절차상의 문제”라고 일축했다. 하나고 관계자는 “교육청의 감사 결과를 수용할 수 없다. 이의신청·행정소송 등 법적 대응에 강력히 나서겠다”고 반발했다.

백민경 기자 baek.minky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