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클릭] 폴크스바겐 강남 매장 가보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4면

기사 이미지

지난 11일 오후 강남구 신사동의 폴크스바겐 전시장. 손님의 발길이 끊겨 한산한 모습이었다. [김경록 기자]

기사 이미지

지난 6일 오후 강남구 대치동의 폴크스바겐 매장. 최근 불거진 ‘배출가스 조작 파문’ 탓인지 평소보다 한산한 모습이었다. 직원들은 심각한 표정으로 회의를 하고 있었다. 한 30대 직원은 “일부 모델은 배출량 조작과 무관하다”고 말했다.

새 차는 구입 보류하고, 중고차는 깎아달라 요구 #이미지 추락으로 신규 등록 대수 8% ↓ #엔진오일 평생 교환권 내걸어도 #벤츠·BMW로 갈아타는 대체효과 전망

 다음 날 찾은 신사동 매장도 썰렁했다. 이 매장 관계자는 “문제가 된 모델(제타 2.0)을 구입하려던 한 신혼부부가 구입을 미루겠다고 알려왔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달 7명의 고객이 구매 계약을 했는데 그중 일부가 폴크스바겐 사태가 터진 후 보류했다”며 “타격이 가시화되고 있다”고 매장 분위기를 전했다.

 ‘폴크스바겐 사태’가 발생한 지 한 달째다. 골프·비틀·제타·파사트 등 디젤 연료를 쓰는 일부 모델이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조작한 게 지난달 중순 미국 현지에서 적발됐다. 한국에도 의심이 되는 차량이 판매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정부도 조사에 나섰다.

기사 이미지

 이 때문에 소비자들 사이에는 “지금 샀다가는 환경부담금을 우리가 지불하게 되는 거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폴크스바겐을 구매하려던 직장인 김모(35)씨는 대신 다른 수입 브랜드 차량을 사기로 마음먹었다. 그는 “요즘 상황에 구매하면 괜히 금전적 불이익을 받을 것 같다. 조금 비싸도 벤츠를 구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멀어지는 고객을 잡기 위해 각 매장은 판촉 행사에 나서고 있다. 이달 안에 구매하면 1회에 수십만 원이 드는 엔진오일 교환 등 서비스를 평생 면제해 주는 행사를 진행 중이었다. 신사동 매장 관계자는 “(배출가스 조작 사태가 터진 직후) 한국 본사에서 결정한 내용”이라고 전했다.

기사 이미지

 폴크스바겐은 수입차 브랜드 가운데 합리적인 가격대와 좋은 연비로 20~30대 고객층에게 인기가 높다. 제타·골프 모델의 가격은 3000만원대다. 현대 소나타(디젤 기준· 2495만~2950만원)보다 조금 비싸다. SUV 모델인 티구안(3800만~4500여 만원)의 경우 기아 스포티지(2179만~2842만원)보다 1000만원가량 가격이 높다. 특히 티구안의 경우 ‘강남의 산타페’라고 불리며 인기몰이 중이었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이미지 추락과 매출 하락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사태 이후 폴크스바겐의 판매량은 줄어드는 추세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지난 9월 수입차의 등록 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9.7% 증가한 2만381대였다. 전월에 비해 12% 가량 늘었다. 그러나 폴크스바겐은 7.8% 감소했다. 한 폴크스바겐 관계자는 "추석 연휴에 쉰 탓도 있다”고 해명했다.

 중고 수입차 시장은 충격이 더 컸다. 6일 중고차 전문 판매업체인 SK엔카 양재동점을 들려봤다. 평균 하루에 20여 통의 폴크스바겐 매물 관련 문의가 들어온다. SK엔카 마케팅 관계자는 “문제가 된 모델의 가격을 깎아달란 요청이 많았다. 상당수의 고객이 ‘다른 브랜드를 대신 구매하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SK엔카에 따르면 지난 9월 11~20일 사이 정해진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판매된 폴크스바겐 중고차는 하루 평균 60~70건 정도였다. 그러나 사태가 터진 지난달 21~30일 사이에는 이 건수가 140여 건으로 늘었다. 『중고차 사기 전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을 쓴 중고차 딜러 이일구씨는 “개인(딜러)끼리 거래하는 중고차 시장의 특성상 더 낮은 가격대에서 매물이 거래될 가능성이 높다”며 “새 차 시장에서의 브랜드 이미지가 회복돼야 중고차 시세가 뒤따라 안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에 위치한 폴크스바겐 매장은 서울 시내 12곳 가운데 절반이 넘는 7곳이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자동차 담당)는 “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강남 고객의 특성상, 낮은 가격대의 국산 모델을 구입하기보단 비슷한 가격의 메르세데스 벤츠나 BMW 모델로 갈아타는 ‘대체 효과’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글=조진형 기자 enish@joongang.co.kr 
사진=김경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