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판교밸리처럼 젊은 층 끌어들일 산업단지 혁신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산업단지 안에 커피숍과 편의점이 들어설 수 있게 하고 콜센터 같은 비제조업 업종의 입주 범위를 늘리는 내용의 ‘산업단지 운영 활성화 방안’이 어제 발표됐다. 대중교통을 확대하고 근로자용 아파트를 확대하는 등 기업과 근로자의 편의를 높이는 내용도 포함됐다. 반세기 동안 경제성장을 이끌어 왔지만 어느새 노후화된 산업단지의 경쟁력을 되살리겠다는 취지다.

 산업단지는 한국 경제의 든든한 토대 역할을 해왔다. 1964년 구로공단(현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을 시작으로 지난해 말 현재 1070개가 운영 중이다. 이곳에 둥지를 튼 8만여 개 기업에서 전체 제조업 고용 인원의 절반인 207만 명이 일한다. 전체 제조업 생산의 69%, 수출의 78.5%를 차지한다. 연관 산업을 모아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에 선진국도 산업단지 모델에 주목하고 있다. 프랑스는 니스 인근에 ‘소피아 앙티폴리스’를, 스웨덴은 수도 스톡홀름 부근에 ‘시스타’를 조성했다.

 하지만 이런 산업단지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목소리가 들린다. 크게 두 가지 큰 문제가 지적된다. 무엇보다 단순 생산기지라는 성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섬유산업이나 임가공업 등이 주로 들어서 있던 1970~80년대 마인드로 세워지고 운영돼 21세기 산업 환경과 동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이래선 젊은이를 끌어들일 수 없다. 당장의 처우도 좋지 않은 데다 배우고 꿈꿀 것조차 없으니 말이다. 조성 단계부터 연구개발(R&D)이나 정보기술(IT)과의 융합을 염두에 두고 있는 외국의 사례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30여 년 전의 여건에 맞게 설계된 환경과 인프라도 개선해야 한다. 오래된 단지일수록 도로와 주차장 같은 교통 여건과 공원 같은 편의시설이 부족하다. 커피숍과 편의점 부족은 규제로 풀 수 있지만 이런 문제엔 정부의 재정 투자가 필수적이다.

 산업단지의 역할은 앞으로도 계속돼야 한다. 그러려면 낙후되고 비어 가는 오래된 산업단지들이 판교디지털밸리나 서울디지털산업단지처럼 젊고 활력이 넘치는 곳으로 거듭나야 한다. 더 과감한 산업단지 혁신 정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