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동맥 초음파로 치매 발생 예측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치매 발생 연관성을 규명하는 연구가 발표됐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문재훈 교수팀은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두꺼울수록 경도인지장애 와 치매 발생률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내 최초로 밝혀냈다.

노화때문에 혈관에 이물질이 쌓여 혈관벽이 두꺼워지면 혈액 순환이 잘 되지 않아 치명적인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이것이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발생 위험성과도 연관이 있다는 것이다.

머리에 혈액을 공급하는 경동맥은 내막, 중막, 외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내막과 중막의 두께를 경동맥의 혈관벽 두께로 측정하는데 이를 ‘경동맥 내중막 두께’라고 한다. 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초음파를 이용해 쉽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 환자의 합병증 예측을 위해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표 중 하나다.

연구팀은 경기도 성남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348명을 5년에 걸쳐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두꺼울수록 5년 후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0.1mm 두꺼워 질수록 5년 후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발생 위험성은 25% 가량 높아졌다.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0.825mm 이상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발생 위험성이 2배 정도 높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혈중콜레스테롤, 혈압, 인슐린저항성, 혈관 탄력성 등과 같은 인지기능저하를 발생시키는 또 다른 위험 요인을 함께 분석했다. 경동맥 내중막 두께만이 유일하게 경도인지장애와 치매 발생 위험성 증가에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임수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뇌혈관 질환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뇌혈관 자체의 이상만으로도 치매 발생이 증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환자는 운동 및 항혈전제 복용, 콜레스테롤 조절 등을 실시하여 경동맥 내중막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좋다. 전문가와 상의해 환자 개개인에 맞는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이번 논문은 뇌졸중 분야 국제학술지 ‘Stroke’ 최근호에 게재됐다.

[인기기사]

·제약 메르스 매출 손실 최악은 피했지만… [2015/07/17] 
·지역 공공보건 향상을 위한 상호지원 협력 [2015/07/16] 
·박원순 시장 만난 병원장, 메르스·지방세 ‘성토' [2015/07/16] 
·박스앨타 코리아 김나경 사장 임명 [2015/07/16] 
·동화약품, 약용 매실 추가한 여성용 액체 소화제 미인활명수 출시 [2015/07/16]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