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하는 지식산업센터 분양…“규제 완화 없던 일 될 수도”

조인스랜드

입력

[황정일기자] 최근 지식산업센터(옛 아파트형공장) 분양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수익률이 다른 수익형 부동산에 비해
월등히 높은 데다, 각종 세제 혜택에 일부 규제가 풀리자 건설업체들이 앞다퉈 지식산업센터를 내놓고 있다.

저금리 기조도 지식산업센터에 관심을 갖게 한다. 부동산개발회사인 피데스개발
연구·개발(R&D)센터가 지난해 지식산업센터의 임대수익률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수도권 지역 총 44개 지식산업센터의 임대수익률은
평균 7.12%로 나타났다. 최근 서울 지역 오피스텔이나 상가의 임대 수익률이 4~5%인 것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운 수치다.

비교적 적은 돈으로 투자할수 있고 관리비도 저렴한 편이다. 서울·수도권 지식산업센터의 매매가는 3.3㎡당
평균 532만원(최대 987만원)으로 상대적으로 오피스텔, 상가에 비해 분양가가 저렴하다.

규제 완화 아직 미정

또 중도금 무이자 등 혜택을 활용하면 가격 부담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보통 지식산업센터의 중도금은 약
30~40% 정도다. 여기에 취득세 50%, 재산세는 2016년까지 최고 37.5%가 감면되는 등 세제 혜택도 최근 수요 증가에 한몫하고 있다.

하지만 지식산업센터는 일반 수익형부동산과는 달라 투자 때 주의해야 한다. 정부는 최근 ‘관광인프라 및
기업혁신 투자 중심의 투자활성화 대책’ 발표에서 지식산업센터에 콜센터·광고대행업 등 생산 활동 지원 효과가 높은 업종의 경우 제조업과 동일하게
입주가 가능토록 했다.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산집법) 시행령 개정으로 6개 이상의 공장 입주 의무요건도
폐지된다. 소비자 접근성 등의 조건을 충족하는 서비스업의 입지 확보를 위한 조치다. 하지만 지난 2013년 8월 ‘네거티브 규제방식 확대
방안’에서 밝힌 지식산업센터의 임대목적 취득 허용 및 임대제한 규제 폐지 내용은 1년 6개월 가까이 표류 중이다.

개별 분양자의 임대업을 허용하는 방안은 당초 임대 물량 부족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민간개발
위주의 분양 공급방식이 대부분이어서 급증하는 임차수요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판단에서다.

일반인 투자 유의해야

이에 정부는 영세·중소기업의 입지 확보 부담을 덜고 창업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한 산집법 개정을 지난해
상반기까지 완료할 예정이었으나, 투기 등의 우려로 지금까지 미뤄지고 있다. 지난해 6월 규제청문회에서도 산업통상자원부는 검토 중이라는 입장만
밝혔다.

산업부 측은 “개별 임대업의 허용이 필요하다는 입장도 있지만 이에 못지 않게 투기 및 임대료 상승 등의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내부적으로 계속 검토 중이지만 결정 시기 등 확실하게 정해진 것은 없다”고 말했다.

그 동안 여러 지식산업센터가 개인 투자자를 대상으로 상가·오피스텔 등 기존 수익형부동산을 대체할 상품으로
홍보했으나 실제 그렇게 될 가능성은 낮아진 것이다. 또 비정상적으로 이뤄지는 지식산업센터 임대업을 양성화하는 것도 어렵게 됐다.

부동산 업계의 관계자는 “지식산업센터는 공장을 설립할 의도가 있어야만 분양받을 수 있고, 산업단지
내에서는 5년간 전매가 금지된다”며 “규제 완화 추진이라는 말만 믿고 일반인들이 쉽게 생각해서는 곤란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