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 후엔 치과의사, 한의사 '공급과잉'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2030년에는 환자를 치료할 의사와 간호사는 부족해지고, 반대로 치과의사‧한의사는 과잉 공급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31일 발표한 ‘2015~2030년 보건의료인력 수급 중장기 추계’ 결과에 따르면 보건의료 부문 14개 직종(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간호사, 약사, 한약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치과기공사, 치위생사, 안경사, 응급구조사) 면허인력은 2015년 90만7600명에서 15년 뒤인 2030년 167만1674명으로 1.84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현장에서 활동하는 보건의료인력은 같은 기간 53만8481명에서 95만6339명으로 1.78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전체 보건의료인력의 수급상황 역시 지금보다 다소 개선 될 것이라는 게 보사연의 예측이다. 2015년 14만489∼16만2853명 공급부족이었던 것이, 2030년에는 10만3596∼12만6648명 부족으로 다소 감소할 것으로 보사연은 내다봤다.

그러나 세부 직종별로는 직종별 편차가 뚜렷해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보사연 보고서에 따르면 환자 진료를 위해 필요한 의사 수는 2015년 10만2223~10만6232명에서 2030년에는 14만5175~15만868명으로 42% 가량 증가한다.

치과의사는 21.9%(2015년 2만4223~2만5173명에서 2030년 2만9516~3만674명), 한의사는 44.2%(2015년 1만9109~1만9858명에서 2030년 2만7550~2만8631명, 5년 증가율 적용) 증가한다. 간호사도 2015년 16만684~16만6986명에서 2030년 26만1513~27만1768명으로 62.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진료 현장에서 활동하는 의사는 2015년 10만5563명에서 2030년 14만0908명으로 15년간 33.5% 늘어나는 데 그칠 전망이다. 이대로라면 환자를 대할 의사가 2030년에는 4267~9960명 쯤 부족해 질 것이란 얘기다.

활동 간호사도 같은 기간 17만8981명에서 32만1659명으로 79.7% 증가하지만, 법적기준을 적용했을 때면 필요 간호사수가 2030년 48만6414~50만5489명으로 늘기 때문에 16만4754~18만3829명 가량이 부족해질 전망이다.

이 밖에 약사(1만3364~1만5406명), 응급구조사(1만901~1만9253명), 안경사(4184~1만929명)도 향후 인력 부족이 예상되는 직군으로 꼽혔다.

▲ 2030년에는 의사와 간호사가 부족하고, 반대로 치과의사, 한의사는 공급 과잉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사진은 기사와 상관이 없음 [중앙DB]

반면 치과의사와 한의사는 환자 수에 비해 의사가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2030년 치과의사와 한의사의 수는 필요 인원에 비해 각각 1810~2968명, 696~1776명 더 많아질 것이라 보사연은 전망했다.

또, 치위생사(4만9666~5만1004명), 물리치료사(1만8185~2만839명), 방사선사(1만2632~1만4196명), 치과기공사(7924~8467명), 작업치료사(3101~4151명), 임상병리사(2821~4530명), 한약사(797~1493명)도 환자 수보다 인력 공급이 더 많은 직종으로 분석됐다.

이번 전망은 유입유출방법(method of in-and-out moves)을 사용했으며, 인력공급은 전년도 인력 수에 신규진입자를 더하고, 사망자‧해외이주자‧은퇴자수를 제외해 산출했다. 2015년 입학정원은 2014년 규모에서 유지된다고 가정했으며 은퇴연령은 의료기관 개설자는 75세(치과의사 70세), 기타 피고용인력은 60세를 정년으로 잡았다.

의료 인력 수요는 국민 총 의료이용량을 보건의료인력별 연간 환자진료량(1일 환자진료량×연간 진료일수)으로 나눠 산출됐다. 현재 국내 의료이용 수준이 안정된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점을 감안, 향후 평균 의료이용 증가율은 완만한 추세를 그릴 것으로 가정했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오영호 연구위원은 “향후 직종에 따라 수급불균형이 나타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입학정원 조정과 유휴인력 활용, 인력 재배치 등 효율적인 인력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 말했다.

[인기기사]

·한우의 유쾌한 변신 드라이에이징 '고기고' [2015/04/01] 
·출산 후 처진 '옆 라인' 관리가 필요하다면? [2015/04/01] 
·"서양의 말린 자두 '프룬' 5개면 변비 탈출" [2015/04/01]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창업 성공한 의사·간호사들 [2015/04/02] 
·미즈메디병원 “수납 때문에 줄 설 필요 없어요” [2015/04/02] 

박정렬 기자 park.jungryul@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