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진의 부동산 맥짚기] 누군 집 사라 하고, 누군 말라 하고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7면

최영진
부동산전문기자

요즘 주택시장을 둘러싸고 흉흉한 얘기들이 나돈다.

 조만간 주택가격이 대폭락할 것이라는 소문에서부터 공급 과잉으로 미분양 사태가 벌어진다든가, 올 하반기 금리 인상설 등등의 루머들이 파다하다.

 며칠전 국토교통부 김경식차관이 주택협회 총회 자리에서 “주택이 너무 많이 공급된 것 같다”는 발언을 한 뒤 분위기는 급격히 어두워졌다. 업계 내에서도 “추진 중인 사업을 서둘러 마무리짓고 빠져나와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올 정도다.

 이런 가운데 “집값이 더 이상 오르지 않으니 집을 사지 말라”는 주장이 나오는가 하면 “지금 집을 사면 막차를 타는 꼴”이라는 경고음도 들린다. 어떤 이는 “주택업체와 정치가 출신의 일부 장관이 주택 값을 올리기 위해 자꾸 펌프질을 해댄다”는 비판도 서슴치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늦으면 1~2년후 주택값이 대폭락할 가능성이 높으니 집을 사지 말고 당분간 전세를 살 것을 권유하는 소리도 들린다.

 이와 상반된 소식도 전해진다. “큰 손들이 아파트든 연립주택이든 돈이 될만한 부동산을 적극 매집 중”이라는 내용이다. 최근들어 주택 거래량이 크게 늘었고 더욱이 서울 외곽지역의 싼 다세대·연립 같은 주택의 시장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어 비관론자들의 주장이 무색해졌다.

 여하튼 수요자들로서는 뭐가 맞는 말인지 헷갈리기 짝이 없다.

 다들 자기 입장에서 얘기하다 보면 의견이 엇갈린다. 그러나 정확하게 장래를 예단한다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다. 주택시장도 예외는 아니다. 여러가지 경제 요인과 변수들을 감안해 대충 짐작은 할 수 있지만 명확한 진단은 쉽지 않다.

 이런 비관적인 말들이 나도는데도 주택 거래량이 늘고 가격도 오름세다. 외곽지역의 주택시장은 더 활발하다. 높은 전셋값 때문에 스트레스가 심해지자 “내집을 갖자”는 수요가 많아져서다. 월세 임대사업을 위해 집을 산 사람도 적지 않다.

 비관론자 말대로라면 집을 사서는 안된다. 더욱이 가격 상승력이 약한 비인기 상품을 구입하는 것은 정말 어리석은 짓인지 모른다.

 하지만 시장은 꼭 교과서 공식대로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전반적으로 집값이 안 오를 때 집을 샀다고 해서 실패라고 말할 수 없다. 그냥 자기가 살 집을 산 것 뿐이다.

 집값이 안 오른다고 전세를 고집하는 것은 비 경제적일 수도 있다. 어차피 임대시장은 월세 위주로 바뀌게 되고 월세 비용을 감안할 때 내집에서 사는 게 더 유리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임대료가 계속 오르는 구조에서는 더욱 그렇다.

 앞으로 금리가 인상되면 대출받아 집을 산 사람은 쪽박찬다는 말도 너무 과장된 얘기다. 설령 금리 오른다 해도 4% 선은 넘지 않는다. 그것도 잠시일뿐 시간이 지나면 금리는 다시 내릴 수밖에 없다. 자금이 남아돌아서다. 선진국치고 금리가 4% 이상인 나라는 하나도 없다.

 물론 무리하게 은행돈 끌어다가 집을 사는 것은 위험하다. 자신의 경제력을 감안해 집을 산다면 걱정할 일이 아니다.

최영진 부동산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