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원인… 선종성 용종 질환 진료 필요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대장암 원인이 화제다.

지난 2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이 선종성 용종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선종성 용종 환자는 6만7742명(2008년)에서 12만9995명(2013년)으로 1.9배 정도 증가했다.

특히 남성은 4만3052명(2008년)에서 8만2685명(2013년)으로 1.9배, 여성은 2만4690명(2008년)에서 4만7310명(2013년)으로 1.9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선종성 용종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로는 대장 질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대장내시경 검사 건수가 증가한 점과 육류 섭취의 증가 등 식생활의 서구화, 인구 고령화에 따른 고령층 인구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조용석 교수(소화기내과)는 중장년층에서 주로 발생하는 이유로 “대장용종은 타고난 개개인의 유전적인 형질, 평생 동안 섭취한 발암 물질의 영향 등에 의해 발생하며 중장년층 이후 꾸준히 발병률이 증가하는 질환인 점과 40대, 50대는 증상이 없어도 건강검진 목적으로 검사를 하는 연령대이므로 대장내시경 검사 건수 자체가 많은 것도 요인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선종성 용종의 일부(약 10%)는 서서히 대장암으로 진행하며, 선종 발생 후 자라서 암이 되어 증상을 보일 때까지 약 5~10년 정도가 걸린다고 알려져 있다”라며 “식이와 생활양식은 대장 선종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식이섬유·야채·탄수화물·칼슘·엽산·비타민 D의 섭취는 선종의 유병율을 감소시킨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2013년에는 기준 인구 10만명당 259명이 선종성 용종 질환 진료를 받았으며, 성별로는 남성이 329명, 여성이 188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다.

온라인 중앙일보
‘대장암 원인’[사진 중앙포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