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과학교육의 강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최근 과학기술분야, 특히 전자·신소재·생명공학 등 이른바 첨단과학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은 반가운 현상이다.
올 대학입시에서 전자공학과가 서울대학교의 간판학과로 부상하고 다른 대학에서도 유전공학 등 첨단과학 기술분야의 학과들이 새로운 명문학과로 등장한 것은 과학교육에 대한 일반의 관심이 한층 높아지고 있는 증좌다.「과학입국」을 통한 선진화야말로 국제적 경쟁이 한층 가열되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가 살아남을 수 있는 한 가닥 활로라는 사실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문교부가 첨단과학 교육의 강화를 주요 정책으로 삼은 것은 이 같은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풀이된다.
과학교육에 관한 문교부의 계획은 전자·전산·유전공학·재료공학·항공공학 등 선도산업분야 학과의 신설과 정원증원을 해주고 그 중 유전공학분야는 부설연구소의 설치 및 연구비 지원 등을 통해 중점 육성한다는 내용이다.
관계기관이 추산한바 90년 들어 필요한 우리 나라의 고급기술 인력은 50만 명이 넘는다. 이만한 인력을 확보하려면 지금부터 자연계를 전공하는 학생들을 늘려야하고 우수한 학생들이 과학·기술을 전공하도록 유인체계도 갖추어야 한다.
우수 이공계대학과 대학원의 첨단학과를 신설해주고 정원도 늘려준다는 정부의 방침은 그런 뜻에서 수긍이 가고도 남는다.
물론 내용이 충실해야하는 질의 뒷받침이 없는 양적 팽창이란 공소한 것이다. 첨단학과를 아무리 증설하고 학생을 늘려 뽑는다해도 질이 좋은 학생을 양성하는 장치가 없다면 별다른 의미가 없다.
교육의 질을 높이는데는 당연히 재정상 적극적인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핵심적인 것은 역시 연구비의 증액이다.
82년 우리의 연구개발비는 모두7억8백50만 달러로 전체 GNP의 1.09%였다. 과거에 비해서는 그나마 많이 늘어난 것이지만 일본의 연구비 2백78억 달러에만 비교하면 그 액수는 너무도 초라한 것이다.
따라서 경제규모가 작은 우리형편에서는 조달 가능한 재원을 효율적으로 쓰는데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유전공학 등 첨단과학 분야의 집중육성은 꼭 필요하다. 다만 그 과정에서 정부안의 관계부처간, 또는 정부와 기업간의 유기적인 협조체제가 잘 이루어져 연구비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각별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10년 후, 20년 후를 내다 볼 때 기초교육 분야의 육성이 중요하다는 사실 또한 잊어서는 안 된다.
기초과학 교육은 기본적으로 초·중등교육 과정에서부터 장기적 과학발전계획과 연관되어 실행되어야한다.
미국은 기초과학에 중점을 두는「창조형 공학교육」을 하는 반면 일본은 전문과목에 치중하는「기술소화형 과학교육」을 하고 있다.
대학교육에서 인문계 대 자연계의 비율을 4대6정도로 자연계에 비중이 가도록 조정하는 일과 함께 과학교육의 중점을 어디에 둘 것인지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