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암 사망률, 충격적인 결과…'상대 불평등 지수'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여성암 사망률’ [사진 중앙포토]

여성암 사망률, 충격적인 결과…'상대 불평등 지수'란?

여성들의 암 사망률이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돼 화제다.

24일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송윤미 교수팀은 2001년과 2006년, 2011년에 집계된 사망원인통계와 인구주택총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 시기 등록된 25~64세 여성 암 환자들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송 교수팀이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 기간 인구 10만명당 사망률의 변화는 암종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으나 유방암과 자궁경부암 등 여성암 사망률은 저학력자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방암의 경우 초등학교 이하 학력의 여성에서 2001년 인구 10만명당 사망률이 8.52명에서 2011년 21.9명으로 큰 폭으로 늘어난 데 비해 고등학교, 대학교 졸업자에서는 오히려 줄어들었다.

자궁경부암 역시 고등학교 이상인 경우 줄거나 소폭 상승한 데 그친 데 반해 초등학교와 중학교 이하인 여성은 1.5배에서 3배까지 늘었다.

이같은 차이는 '상대 불평등 지수' 개념으로 비교했을 때 더욱 두드러진다. 상대 불평등 지수는 초등학교 이하 학력 여성의 암사망률에 대비한 대학교 졸업 여성의 암사망률을 뜻한다. 이 지수가 1보다 크다는 것은 학력에 따른 건강불평등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난소암 역시 2001년 0.79에서 2011년 1.50으로 상대 불평등 지수 1을 넘겨 최근 들어 학력에 따른 불평등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또 암종이라도 젊은 여성에서 암 사망의 상대 불평등 지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경부암의 경우 45세를 기점으로 중년 이전(25~44세)과 이후(45~64세)로 나눴을 때 2011년 중년 이전 세대의 상대 불평등 지수는 17.6인 데 비해 이후 세대는 2.4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송 교수는 "한국 여성들의 학력수준이 이전 세대보다 비교적 높아졌지만 그만큼 학력이 낮은 여성에서 불평등 정도가 더 심해질 개연성도 커졌다"면서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암에 대한 관심이나 정보 접근성, 수진율이 다른 것도 사망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여성암 사망률’ [사진 중앙포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