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끔찍한 황사 주범인 몽골 사막화 막을 대책 나와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설 연휴 끝자락에 전국을 덮친 황사 때문에 상당수 국민이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냈다. 수도권에는 22, 23일 황사경보가 내려진 데 이어 23일엔 미세먼지 주의보까지 발령됐다. 전국에 황사특보가 발효된 것은 2011년 5월 이후 3년9개월여 만이다. 그간 정부가 감시망을 촘촘히 하고 위성데이터까지 확보해 예보 정확도를 높이고 미세먼지 경보 능력을 강화해 왔다는 사실이 무색할 정도다. 이번 겨울 황사는 이젠 더욱 근본적인 해결책을 고민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전문가들은 황사 발원지인 몽골 서·남부의 가뭄으로 눈이 쌓이지 않아 이례적인 겨울 모래폭풍이 발생하면서 한반도로 피해가 미친 것으로 풀이한다. 하지만 더욱 근본적인 문제는 30년 전 연 20회 정도였던 모래폭풍이 최근엔 연 60회 정도로 늘었다는 사실일 것이다.

 황사를 유발하는 모래폭풍을 줄이려면 사막화를 막거나 늦추는 노력이 필수적이다. 그동안 중국은 고비사막의 남부인 네이멍구 자치구와 서부지역의 사막화 방지를 위해 노력해왔다. 네이멍구 자치구에선 2012년부터 고속도로 양쪽을 따라 폭 50m의 산림대를 조성해 사업이 끝나면 길이 400㎞의 녹색 띠가 생기게 된다.

 문제의 핵심은 환경 투자 여력이 충분하지 않은 몽골에 있다. 몽골은 국토의 90%가 사막화에 취약하고 80%는 어느 정도 사막화가 진행됐다. 2010년 조사에서 호수 1166개, 강 877개, 우물 2277개가 말라붙었다니 여간 심각한 게 아니다. 학자들은 사막화의 13%만 자연적 원인일 뿐 87%는 인간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과도한 목축으로 인한 초지의 사막화가 가장 큰 문제다.

 정부는 황사 빈발의 주요 원인으로 떠오르고 있는 몽골 사막화를 막을 환경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환경 협력을 제대로 유도할 수 있도록 경제 지원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 우리 정부만의 노력으로 부족할 수 있다. 몽골의 사막화를 근본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국제적인 환경 협력도 본격적으로 고민해야 한다. 지긋지긋한 황사에서 벗어날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