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설계 재산 리모델링] 투자 목적으로 서울에 집 사도 될까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Q : 남편은 광주에서, 전 서울에서 각각 직장생활을 하는 30대 초반의 주말부부입니다. 서울에서 투자 목적으로 집을 사려고 하는데 구입시기와 적절한 지역을 가늠하기 어렵습니다.

-서울에서 통신회사에 다니는 김모(32)씨는 지방 IT업체에 근무하는 남편과 함께 열심히 돈을 모아왔다. 김씨네는 2년전 주택구입을 고려했으나 차일피일 미루던 중 때를 놓쳤다. 그동안 집값이 많이 올라 마음이 편치 않다.

A : 김씨는 현재 서울의 친정집에서, 남편은 광주의 전셋집에서 각각 지내고 있다. 남편이 서울에서 근무할 가능성은 당분간 크지 않다. 이 때문에 김씨네는 당장 살기 위해서가 아니라 투자 목적으로 아파트를 구입하려고 한다.

김씨네가 지금 아파트를 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2001년 중순부터 시작된 주택시장의 상승세가 한풀 꺾이고 이제 본격적인 조정국면으로 진입하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내년부터 8.31 부동산 종합대책이 법제화돼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부동산 시장의 하락세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되므로 주택구입은 이후 시장반응을 살펴본 뒤 해도 늦지 않다.

앞으로의 부동산 시장은 지역과 종류를 불문하고 다같이 오르던 과거와는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상승세가 선별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이같은 상황에서 '부동산 불패'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만으로 아파트를 사는 것은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없다.

과거의 부동산 투자가 항상 성공적이었던 것도 아니다. 아파트값은 1988~91년 크게 올랐지만 92~93년 큰 폭으로 하락해 이후 10년간 91년 당시의 최고가격을 회복하지 못했다. 최근에야 저금리 기조로 인한 투자붐에 힘입어 다시 오른 것이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아파트 투자는 91년을 정점으로 2001년까지 사실상 큰 손해였다. 부동산 투자는 손해를 보지 않는다는 통념은 사실과 다른 셈이다.

이런 경험에서 보듯 부동산 시장의 하락 국면은 의외로 길어질 수 있다. 최근의 금리 상승세는 부동산 시장의 상승 가능성을 더욱 옥죄게 하는 요인이다. 세계적으로도 저금리 기조가 꺼져가면서 부동산 가격 급등이 진정되고 있다. 따라서 김씨네는 당분간 시장을 관망하면서 금융상품을 통해 종자돈을 모아나가는 게 좋겠다.

김씨 부부가 모아둔 금융자산은 2억원이 넘는다. 이 돈을 다양한 저축과 투자상품에 나눠 넣고 있어 포트폴리오의 배분도 괜찮아 보인다. 하지만 투자 이후의 점검과 관리는 매우 부족하다.

예컨대 2001년 가입한 신노후연금신탁의 경우 평균 배당률이 2000년 연 14%에서 2001년 5.2%, 2003년 2.9% 수준에 머물렀다. 올해 배당률은 불과 1.8%에 불과하다. 좀 더 높은 수익률을 얻기 위해 가입했지만 실제로는 같은 기간동안 정기예금에 넣어둔 것만도 못한 결과다. 채권에 주로 투자하는 이 상품은 펀드 규모가 작아 시장 변화에 원활하게 대처하기 어렵다. 요즘 같은 금리 상승기에는 되도록 빨리 정리하는 게 유리하다.

김씨네는 평균적인 가정보다 많은 펀드에 가입하고 있다. 펀드마다 투자 대상과 지역이 달라 분산투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역시 관리가 중요하다. 금융회사에서 알아서 관리해 주겠거니 생각하기보다는 주기적으로 성과와 운용방식을 점검해 보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아직 자녀가 없는 김씨네는 양육비 부담에서 자유롭다. 부채도 전혀 없어 현금흐름이 양호하다. 하지만 앞으로 이러한 상황이 언제든지 바뀔 수 있으므로 비교적 여유가 있는 지금 자산을 최대한 늘려야 한다.

김씨네는 매달 133만원의 여유자금을 머니마켓펀드(MMF)에 넣고 있다. 비상시에 대비한 예비자금 성격이지만 현재 잔고가 1700만원이나 쌓여 있어 과도하다. MMF 잔고는 부모님 용돈을 포함한 생활비의 약 네 배 수준인 1000만원 정도만 유지하자. MMF에 넣을 필요가 없어지는 여유자금은 고정적인 저축으로 돌리는 게 좋겠다.

가입한 펀드가 모두 일시금 형태로 예치돼 있는 점을 감안해 50만원은 적립식 펀드에 넣도록 하자. 40만원은 남편 명의로 장기주택마련저축에 추가로 가입한다. 내년부터 일정규모 이상의 주택을 소유한 사람의 추가 가입이 불가능해지는 등 가입 요건이 까다로워지고 가입시한도 내년 말까지로 제한돼 있기 때문이다.

김씨네의 보험은 매우 효율적으로 설계돼 있어 추가적인 보장은 필요하지 않은 상태다. 다만 노후 대비가 상대적으로 취약하므로 나머지 여유자금을 노후대비용 연금 상품에 투자하는 게 좋겠다. 회사에서 각각 부부 명의로 연금을 들어주고는 있지만 금액이 미미하다.

정리=나현철 기자 <tigerace@joongang.co.kr>


◆ 이번 주 자문단=김종민 교보증권 자산관리영업지원부 차장, 백미경 하나은행 성북동지점장, 이택주 알리안츠 생명 부지점장, 김재언 삼성증권 부동산컨설턴트(사진 왼쪽부터).

◆ 신문지면 상담신청=팩스: 02-751-5552/e-메일:<tigerace@joongang.co.kr><jsool@joongang.co.kr> 효율적인 상담을 위해 본인 연락처와 자산 현황, 월 현금 흐름, 상담 목표 등을 구체적으로 기재하시기 바랍니다.

◆ '중앙일보-이화여대 파이낸셜 플래닝 센터' 상담신청=전문가를 만나 직접 재산 리모델링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e-메일 fpc@ewha.ac.kr 이나 센터 전화 02-3277-4497(매주 월~금요일 오전 10시~오후 4시)로 신청하시면 상담 일정을 잡아 드립니다. 전화 폭주로 e-메일 신청을 환영합니다. 단 상담을 받으려면 '위 스타트 운동'에 10만원(계좌 외환은행 068-22-01286-6, 예금주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을 후원해야 합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