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노 측 "내년 전당대회서 제3후보 낼 수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여당의 재선거 참패에 따라 정계 복귀 여부에 관심이 쏠려 있는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과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1일 서울 세종로 정부 중앙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10.26 재선거 패배 후 당의 진로를 둘러싼 열린우리당 노선 투쟁이 정세균 체제의 출범과 함께 일단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1일 정세균 의장은 비상집행위원회 첫 회의에서 "우리는 공동운명체"라며 "견해가 서로 다른 것을 우려할 일은 아니지만 견해 차이가 비생산적인 방향으로 확대 재생산돼선 안 된다"고 단합을 역설했다. 재야파의 대 청와대 공세에 뒤이은 친노의 반격도 고비를 넘기는 기류다.

그러나 갈등 해소와는 거리가 멀다. 전당대회라는 본 게임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친노 그룹 내에서 내년 초 전당대회에 정동영.김근태 장관이 아닌, 제3의 독자 후보를 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일고 있어 후폭풍을 예고하고 있다. 친노 직계인 한 초선의원은 "전당대회 전에 정.김 두 장관에게 노무현 대통령의 창당이념과 국정철학을 계승할 것인지를 분명히 묻겠다"며 "동의하지 않을 경우 독자 후보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른바 비정비김(非鄭非金)론의 출현이다. 지난달 31일 김두관 청와대 정무특보도 "강금실 전 법무장관 등 노 대통령의 국정철학에 동의하는 분들을 영입해 신뢰를 쌓아야 한다는 논의들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친노 그룹의 이 같은 구상은 전당대회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차기 주자들이 지방선거 전에 지도부에 포진해 분위기를 쇄신해야 한다는 주장에 맞서 이들은 전당대회가 대선후보 조기 가시화로 이어져선 안 된다는 쪽이다. 자칫 레임덕 현상을 부추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의정연 간사인 이화영 의원은 "노 대통령의 임기가 2년이나 남은 상황에서 후보 조기 가시화가 당에 도움이 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물론 제3후보론에도 맹점은 있다. 당 지지도가 바닥을 헤매는 상황에서 대안이 있겠느냐는 점이다. 이 때문에 당 일각에서는 "대선주자들을 상대로 캐스팅 보트를 행사한 뒤 노 대통령 흔들기를 견제하려는 의도"라고 해석한다.

친노 그룹의 제3후보론이 가시화할 경우 전당대회의 긴장도는 한층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의정연.참정연.국참1219 등 당내 친노 조직은 이를 의식해 세력 확대에 진력하고 있다.

표면상 당내 갈등은 진화되는 양상이지만 이날도 친노 그룹과 재야.중도파로 나뉜 소규모 국지전은 계속됐다.

전날 당원 대토론회를 연 국참1219의 정청래 의원과 심화섭 공동의장 등은 정세균 의장을 만나 노 대통령을 비판한 의원들에게 경고할 것을 정식 요구했다. 중도보수 성향의 한광원 의원은 당 홈페이지에 "유시민 의원의 최근 발언은 개혁과 친노라는 명분 아래 본인 중심의 세력을 만들려는 것"이라고 공개 비판했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