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와중에 의협 내부 잡음, 대의원회 임총 결과 '뭇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대한의사협회 대의원회 임시총회 결과에 대해 의료계 내부의 불만이 터져나왔다.

앞서 25일 열린 의협 임시대의원총회에서 대통합혁신특별위원회에서 제안한 정관개정안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시한 선거관리규정 개정안, 보건의료 기요틴 저지를 위한 대책방안 등이 논의됐다.

의협 추무진 회장은 “이날 임시총회에 의료계의 미래가 달려있다고 과한 표현이 아니다”라며 “가급적 합리적이고 회원들의 마음을 모을 수 있는 발전적인 논의가 되기를 부탁한다”고 대의원에게 전한 바 있다.

하지만 이날 임시총회 결과가 알려지자 의료계 내부에서는 불만 섞인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대한의원협회는 27일 “대의원회 임시총회의 결과에 대해 참담함을 금치 못한다”고 밝혔다. 대통합혁신위원회에서 올라온 안건 중 대의원직선제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안건이 부결됐기 때문이다.

의원협회는 “자신들의 대의원 수가 감소한다고 집단적으로 참석을 거부한 의학회의 모습, 집행부 일원인 시도의사회장들이 집행부와 독립된 힘을 가져야 한다며 대의원 겸임금지와 이사회 참여를 거부하는 시도의사회의 모습, 안건 부결을 유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시간을 끌고 논점을 회피하는 일부 대의원들의 패악질, 이 모든 모습들이 현재 의협 대의원회의 현주소”라고 강도 높게 비난했다.

또한 “개혁과 통합이라는 회원들의 열망을 일거에 날려버린 대의원들은 더 이상 대의원으로서 존재할 이유가 없다”며 “규제기요틴이라는 서슬퍼런 단두대가 눈앞에 있는데도 오로지 자신의 기득권 유지만을 위해 몸부림치는 대의원들의 모습을 보며 의협에 대한 희망을 잃어 버렸다”고 자조의 목소리를 높였다.

더불어 의원협회는 대의원회가 ‘최소한의 양심의 가책’을 느낀다면, 이번 임시총회에서 통과된 ‘선거관리위에서 정하는 방법을 통한 직선제’ 만큼은 차기 대의원부터 적용될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 정관승인을 즉각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원협회는 “만약 이 마저도 거부하며 정기총회에서 논의해야 한다는 등의 기만적인 작태를 보인다면, 회원들의 실망과 분노는 극에 달할 것”이라며 “현 의협 대의원회는 역사의 죄인이 될 것임을 분명히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기기사]

·50대 이상 여성 환자, 자궁근종 주의보 [2015/01/27] 
·블루오션 찾는 보건의료기업들, '중국' 주목 [2015/01/27] 
·바이오경제 시대 바이오의약품 가능성에 주목 [2015/01/28] 
·치매 걸린 뒤 음악 능력 향상된 사례 세계 첫 보고 [2015/01/27] 
·(사)웰니스IT협회, 마이크로소프트 코리아와 양해각서 체결 [2015/01/27] 

오경아 기자 okafm@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