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 이슈] 상인~범물 도로개설 논란 가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대구시와 시민단체가 대구 외곽 순환도로의 한 구간인 달서구 상인동~수성구 범물동 도로 개설을 놓고 논란을 벌이고 있다. 앞산을 관통하는 도로의 환경 훼손에 대한 시각차가 커 지난 7일 공청회에서도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시는 공사 강행, 시민단체는 저지로 맞서는 모습이다.

◆사업 개요=총 10.5㎞에 너비 35m로 뚫리며, 터널 2개소 5.5㎞와 교량 3개소, 지하차도 1개소가 각각 건설된다. 사업비 3298억원 중 시비 944억원을 제외한 2354억원이 민간자본이다. 사업자는 2011년 하루 4만5000대 통과 때 통행료 1200원을 받겠다고 제시했다. 시는 내년 3월 설계를 마치고 6월쯤 보상 및 공사에 들어가 2011년 완공 예정이다. 이미 ㈜태영 등 10개 회사로 구성된 대구남부순환도로㈜를 사업자로 잠정 선정했다.

◆대구시=시는 시내 도로의 체증을 들어 개설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2004년 도심부 차량통행 속도가 시속 25.7㎞로 전년대비 1.9%, 도심 외곽부는 시속 30.3㎞로 전년대비 10.6% 각각 감소했다는 것. 특히 인근 앞산순환도로는 하루 9만4700여대가 통행, 통과용량 8만대를 초과하면서 상동교 일대가 심한 체증을 빚고 있다는 지적이다. 달구벌대로.신천대로 등도 마찬가지 현상이라는 것이다. 또 달성군 현풍 일대에 테크노폴리스(287만평) 등이 조성되면 기존 도로망으로 교통 처리를 할 수 없다고 한다.

시는 시민단체의 주장과 달리 터널이 많아 환경친화적 도로를 건설할 수 있다고 맞서고 있다. 3개 터널이 있는 서울 남산을 사례로 들었다. 도로과 임정기 과장은 "시지~성서가 40여분 걸리지만 이 도로가 뚫리면 20분 만에 주파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시민단체=앞산은 연간 1600만명이 이용하는 대구의 가장 큰 자연공원이지만 도로 개설로 반딧불이 등 야생동식물의 서식처인 달비.용두골 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또 터널로 인한 지하.지표수 고갈, 이에 따른 식생 변화가 예상되며, 인근 대기를 오염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시민단체는 또 시가 사업 타당성의 근거로 삼은 환경청의 사전 환경성 검토가 잘못됐다고 지적한다. 환경성 검토서에서 앞산의 식생.대기영향에 대한 조사가 잘못됐거나 누락된 내용이 많다는 것이다.

시민단체는 이에 따라 대구시와 민간업체가 내년 3월 실시협약을 하기 전에 민.관 공동으로 환경성 조사를 해 그 결과에 따르자고 요구하고 있다. 시민단체는 또 지역사회에서 갈등을 빚는 사업이어서 시 의회의 동의를 받을 것을 주장하고 있다. 통행료 부담, 적자로 인한 통행료의 시비 지원 가능성도 시민단체의 반대 이유다. 상인.파동 주민도 주거지를 관통하는 고가도로 건설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문창식 운영위원장은 "민.관 공동 조사 등이 받아들이지 않으면 실력행사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지역 26개 시민단체는 지난달 '앞산터널 반대 범시민투쟁본부'를 구성했다.

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