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공용한자 808자, 서예가 808명이 직접 썼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국·중국·일본은 한자 문화권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동아시아 평화와 번영을 위해서는 같은 한자 문화권인 3국 간의 교류와 협력 확대가 절실하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종전 70주년이면서 한·일 협정 체결 50주년인 올해 3국의 화해와 관계회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3국의 각계 저명인사로 구성된 한·중·일 30인회가 선정한 상용 공통한자 808자는 상호 이해 증진과 갈등완화에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공용 808자’는 지난해 4월 중국 양저우(揚州)에서 열린 제9차 한·중·일 30인회(중앙일보·신화사·니혼게이자이신문사 주최)에서 정식 채택됐다. 3국 간 과거사·영토·정치 갈등이 그 어느 때보다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를 극복하고 미래 세대의 교류와 이해의 폭을 넓히자는 취지에서다.
제각각 다른 글자체로 쓰고 있는 한자를 서로 익히고 공유함으로써 세 나라의 우호관계를 증진하고 동아시아에 강력한 문화적 연대를 확산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은 한자의 원형을 거의 그대로 쓰는 정자체(번체라고도 함)를, 중국은 대폭 간략화한 간체를, 일본은 약자체를 사용한다. 공용한자는 도로 표지판이나 상점 간판, 학교 수업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상용 공통한자 808자'의 사용 확대를 위해 국내의 저명한 서예가 808명이 한글자씩 써 중앙SUNDAY에 보내왔다. 이동국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 서예부장(수석큐레이터)은 "한국 서예협회·서가협회·서도협회·미술협회 등 서예단체총연합회의 대표작가들이 전·예·해·행·초서 등 모든 서체를 망라한 작품집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서체 만다라'라고 할 수 있는 808자 작품을 통해 동아시아 공통문화인 한자와 서예의 진수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 중·일 서예작가들도 함께 참여하면 더욱 뜻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중·일 상용 공통한자 808자' 서예 작품을 중앙SUNDAY에 보내 온 작가 명단과 국가별 글자체 비교표는 인터넷(http://sunday.joins.com)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