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무불이행 우려있는 국가 중 OECD, 브라질 등 4국지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동경=신성순 특파원】OECD (경제협력개발기구)는 작년12월말 미· 일· 영 등 주요 선진국에 대해 채무급증으로 장래 채무 불이행을 일으킬지도 모를 국가로 브라질·멕시코·아르헨티나· 한국 등 4개국을 지적, 경고해왔다고 일본경제 신문이 10일 보도했다.
일경의 보도에 따르면 국제기관이 특정한 나라의 이름을 들어 경고하는 것은 대단히 이례적인 일로서 이들 4개국은 최근 4년 동안 외채 규모가 2배 이상으로 확대됐다는 것이다.
일본정부는 특히 한국이 경고의 대상국으로 지적된 점에 대해 중남미를 중심으로 야기되고 있는 금융위기가 아시아까지 비화해온 것으로 강한 경계심을 품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경은 현재 한일양국간에 걸려있는 40억 달러 경협 문제의 타결이 급진전된 것도 미국에 대한 정치적 배려뿐 아니라 OECD의 경고도 주요한 역할을 했다는 설명을 달았다.
OECD는 지난 12월말 미·일·서독·프랑스·영국 등 주요서방국가에 이 같은 경고를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OECD에 의하면 한국의 누적 채무는 78년 이후 늘기 시작해 82년 말 잔고는 3백80억 달러로 4년 전인 78년 말의 1백60억 달러에 비해 약2·4배 늘었다는 것이다.

<"한국에 대한 경고 아니다">
일대장성 관리 해명
한편 이에 대해 일본대장성관계자는 OECD가 매년 정기적으로 배포하는 개발도상국에 대한 분석 자료일 뿐 특별히 한국에 대한 경고는 아니었다고 일경신문의 보도를 일부 부인했다.
안창직 주일 한국대사관재무관도 일본대장성에 진상을 조사한 결과 문제가 된 보고서는 OECD가 12월 발간한 『External Dept of Developing Countries 1982 Survey』로서 이는 개도국의 대외채무에 관한 통계를 국가발전단계별로 분석한 자료이며 특정국에 관한 경고나 평가 등을 포함한 것이 아니며 더우기 일본 정부에 대한 경고는 아님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일지보도는 사실과 달라">
정부 관계자 해명
정부관계당국자는 OECD자료를 확인한 결과 한국의 국제수지에 대한 아무런 코덴트가 없었다고 밝히고 일본경제신문의 일방적인 과장보도라고 지적했다.
당국자는 또 실제 82년 말 외채잔액은 약3백60억 달러로 OECD가 집계한 3백80억 달러와는 약 20억 달러의 차이가 난다고 밝히고 이 같은 외채잔액규모보다 외채상환능력을 평가하는데 더욱 중요한 기본이 되는 외채상환비율 (원리금상환액/경상수입액) 은 지난해 14·8%로서 위험선인 20%선에 훨씬 못 미치고 있으므로 한국의 외상위기에 대한 일경신문의 보도는 지나친 과장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