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살림 수준 올해와 비슷" 58·5%|"휴일엔 등산·낚시·테니스 즐겨" 34%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물가 잡혔다지만 33%가 아직 높다>
새해 살림이 금년에 비해 어떨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대해 「금년 수준」이라는 응답이58·5%로 가장 많았고 「금년보다 못해질 것」이 22·8%, 「나아질 것」이 17·4%를 차지했다.
연령별로 보면 근로 의욕이 가장 왕성하다고 할 수 있는 30대가 훨씬 낙관적이어서 응답자의 53·6%가 「금년보다 나아질 것」으로 응답했다.
그러나 40대 이상, 연령층이 올라갈수록 금년 수준과 비슷할 것이라는 반응이 두드러지게 많고 오히려 나빠질 것이라는 생각도 24%선이나 됐다.
내년 물가에 대해서는 「조금씩이지만 계속 오를 것 같다」는 응답이 88·9%로 압도적이었고 크게 오를 것이라는 우려는 6·2%에 불과했다.
이같은 비교적 낙관적인 물가 전망에도 불구하고 「생활의 압박 요인」으로는 「물가고」를 지적한 경우가 33·3%로 가장 많은 것을 보면 물가에 대한 불만이 얼마나 뿌리깊은지를 말해주고 있다.
한편 나이가 많을수록 세금 걱정을 많이 하고 있어 50대 이상은 26∼28%가 과다한 세금을 생활 압박 요인으로 꼽았다.
전반적인 불황 걱정은 거꾸로 나아가 적을수록 심각하게 받아들었으며 학자금 부담이 가장 클 때인 40대는 교육비가 제일 큰 골칫거리라는 대답이 25·6%나 나왔다. 직업별로는 변호사와 의사들이 세금에 대한 불만을 많이 나타낸 것이 주목을 끌었다.
소득 증가와 물가 상승을 비교한 질문에 대해서는 「소득 증가가 물가 상승을 못따라 갈 것」이라는 응답이 64·7%,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33·8%로 나타났다.
예금 8%. 대출 10%의 현행 은행 금리에 대해서는 「너무 낮다」는 반응이 69·4%로 지배적이었고 21·6%가 적당하다고 응답했다.

<투기 일어나는 건 복덕방 때문 15%>
한편 아파트 투기가 왜 일어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정부의 정책 잘못 때문」이는 지적이 66·7%로 투기의 근본적인 책임을 정부에 돌렸다.
「복덕방 농간」이라는 견해는 15%, 「복부인」 8·7%, 「돈이 많이 풀렸기 때문」이 4·6%, 「건설 의사 때문」이 3·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아파트 투기를 없애기 위해서는 어떤 대응책이 필요하겠느냐는 질문에는 「복부인이나 전매 투기자는 벌금은 물론 체험까지 과해야 한다」가 34·5%를 차지해 강경한 대응책을 요구했고 「분양가를 현실화해서 세금으로 흡수해야 한다」가 30·7%, 「아파트 업자에게 대형 아파트를 지을 때 소형을 많이 짓도록 의무화시킨다」가 25·2%로 각각 나타났다.

<성교육 문제엔 보수적 경향>
일제의 잔재로 기회 있을 때마다 매도 당해온 제복 폐지가 막상 실현된다니까 전체 응답자의 21·2%만이 「좋다」는 긍정적 반응을 나타냈다.
비슷한 수가 「획일적 제복」이 좋다 (20·3%)는 복고족에 벌써 손을 들었고 58·3%가「어느 정도의 기준은 정해야 한다」면서 완전 자유에 두려움을 나타냈다. 절대 다수 (78·8%)가 선뜻 자유를 누리겠다는 마음의 준비를 못한 채 망설이고 있다.
실제로 교복 자유화나 두발 자유화는 중·고생의 생활 지도, 특히 교외 생활지로에 큰 전기를 가져왔고 학교는 물론 청소년 선도를 맡고 있는 경찰 등 관계 기관의 종합 대책이 절실하다는 징후가 이미 나타나고 있으며, 자유복 시장을 노리는 복장 업계의 사치 조장 유혹도 없지 않은 실정이다.
자녀의 성교육에서도 우리 가정의 보수 성향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자녀가 성에 대해 노골적인 질문을 했을때 우회적인 이야기로 꾸며서 설명하거나 (63·6%) 아예 알 필요가 없다고 핀잔을 준다 (3·1%)는 부모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택시 합승 금지 54%가 이르다>
택시 합승 금지 조치에 대해서는 짜증 섞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승차 질서 정상화라는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우선 불편을 느끼는 강도는 상당한 것 같다. 38·7%만이 적절한 조치라는 반응을 보였고 나머지는 금지할 시기가 아니라는 반응.
특히 전체 응답자의 54·8%가 「지하철 공사가 끝나는 84년 이후로 미뤄야한다」고 승차난 가중 등 부작용 쪽을 강조했다.

<휴일을 가족과 3분의1 정도>
이번 조사에서는 또 레저 붐과 함께 「가정 부재」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사실이 눈에 띄게 드러나고 있다.
일요일을 가족과 보내는 사람이 전체 응답자의 3분의1에 불과하다는 놀라운 사실이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그 가운데 절반은 가족과 의식이라도 하며 보내는 편이지만 나머지 절반은 집에서 낮잠을 자거나 TV를 보면서 어물어물 지내는 정도다.
3분의2에 해당하는 전체 응답자의 절대 다수가 일요일에도 가정을 버리고 직장 동료나 친구와 어울려 레저를 즐기거나 직장에 붙잡힌다.
이를 다시 연령별로 보면 40대와 50대, 60대가 동료들과의 단체 레저에 가장 바쁘다. 40대의 33·8%, 50대의 40·2%, 60대의 31·9%가 등산·테니스·낚시 등으로 가족을 떠나고 있으며 60∼70%가 그밖의 일까지 포함해서 가정을 탈출하고 있다.

<기다리기 싫어 병원에 안간다>
초·중·고교생의 TV시청 유해 논쟁은 이번 조사에서도 결말이 나지 않았다. 찬반이 팽팽한 48·0% 대 48·3%. 「공부에 지장을 받아 해롭다」는 반응이 48·3%였고, 거의 같은 48·0%가 공부에 지장이 없거나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반응으로 나타났다. 물론 공부에 미치는 영합만 물었다. 내용 자체가 교육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는 또 다른 측면에서 다루어져야할 문제로 남아 있다.
병원이 보편화되기도 했지만 일반의 진료 패턴이 약국에서 병원으로 점차 옮겨가고 있는 것도 괄목할만 하다. 감기에 걸렸을 때 가정에서 자연 치료를 한다는 8·3%의에 병원을 찾는 사람이 49·1%로 약국의 42·4%보다 훨씬 많아졌다. 경제 수준 향상과 의료보험 확대에 맞춰 서비스가 개선된다면 병원 이용률은 더욱 나아질 수밖에 없을 것 같다.

<공직자의 재산 공개 주장 58%>
국군의 레바논 파병에 관해서는 압도적 다수인 84·0%가 중동 진출과 비동맹 외교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보내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견해를 보였다. 월남 파병 당시 극도의 국론 분열을 겪었던 경험에 비추어보면 놀랄 만큼 국론 통일상을 보인 셈이다.
이는 레바논 파병의 조건·명분이 파월 때와는 판이하다는 것을 국민들이 올바르게 인식한 증좌이며 상대적으로 우리가 중간 진출이나 비동맹 외교에서 지켜야할 국익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여론 조사 실시 당시 이미 정부가 파병을 하지 않겠다는 쪽으로 결론을 내린데 크게 영향을 받은 것 같다.
파병에 찬성하는 소수 (7·2%)는 월남 특수 경기에서 보았듯이 경제적 부대 이익을 염두에 두지 않았나 생각된다.
공직자 윤리법에 의해 등록될 고위 공직자의 재산에 대해서는 58·4%가 공개 원칙을 지지하고 있으며 그중 33·7%는 즉시 공개를, 33·7%는 각료 이상으로부터의 단계적 공개를 찬성했다.
반면 성실한 등록을 위해 공개까지는 하지 않는게 좋다는 정부의 입장을 이해하는 사람도 33·4%나 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