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공정에 빅데이터 접목, 연 1000억 절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7면

섬마을 공업고등학교 출신의 소프트웨어(SW) 전문가가 제조업 공정에 빅데이터 기술을 접목한 솔루션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솔루션 덕분에 연간 1000억원 이상의 비용을 줄인 공로로 이달 초 삼성그룹 인사에서 임원으로 승진한 안대중(42·사진) 삼성SDS 상무가 그 주인공이다.

 안 상무는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시각화해 제품 품질 관리를 혁신적으로 높인 ‘SAF(Smart Analytics Foundation) 솔루션’을 개발했다. 삼성은 그가 만든 솔루션을 액정(LCD) 디스플레이, 2차 전지 공정에도 도입했다. 각 공정 별로 제품 품질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덕분에 오라클·EMC 등 글로벌 정보기술(IT) 업체로부터 기술 제휴를 문의도 받았다.

 전남 증도 출신인 안 상무는 1991년 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삼성에 입사해 24년 동안 반도체 공정 관리 분야에서 근무해왔다. SW 프로그램을 구동해 반도체 제조 공정을 관리하는 게 그의 업무였다. 입사 직후 그는 낮에는 회사에서 근무를 하고, 밤에는 야간 대학을 다니며 SW 분야 지식을 쌓았다. 안 상무는 “대학 졸업자, 박사급 사원들 사이에서 베이직·C언어 같은 컴퓨터 용어부터 익히는 게 급선무였다.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방학이나 휴일을 이용해 컴퓨터 학원에 다니기도 했다”고 말했다. 지금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안 상무는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회사 내에서 안 상무는 반도체 불량 원인을 시각적으로 해석하는 ‘구조 분석 1인자’로 꼽히고 있다. 지난 두 달 새 비행기만 26번 타며 전국 각지로 출장을 다니기도 했다. 이같은 실적을 바탕으로 그는 임원 인사에서 발탁 케이스로 상무로 승진했다. 이달 초 삼성그룹 최우수 사원에게만 주어지는 ‘자랑스런 삼성인상’도 수상했다.

김영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