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형 A형, 현재 유일한 단서…수원 팔달산 '토막 시신'사건 '미궁인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수원 팔달산 혈액형 A형’ [사진 JTBC 영상 캡처]

'수원 팔달산 토막 시신 사건'

혈액형 A형. 그러나 그뿐이다.

'장기 없는' 수원 팔달산 토막시신이 닷새째를 맞는 8일, 경기지방경찰청 수사본부는 "아직 수사에 별다른 진전은 없다"고 말했다.

경찰은 이날 오전부터 기동대 5개 중대 등 440여명과 수색견 3마리 등을 투입해 수원 팔달산 인근 수색을 강화했다.

수색 인력을 기존 340여명에서 100여명 더 늘렸으며 수색 범위는 팔달산에서 수원 전역을 포함한 인접지역까지 확대했다.

산뿐 아니라 도심의 빈집이나 폐가 등도 수색했다.

하지만 수색이 종료된 일몰 때까지 별다른 특이점을 발견하지는 못했다.

한편 경찰은 토막 시신이 버려진 수원 팔달산 사건 현장 주변에 설치된 CCTV 열흘 치 영상을 확보해 분석하고 있다. 현장 주변에 설치된 CCTV는 10여 개다.

그러나 아직까지 현장에서 시신을 감싼 검은 봉지를 들고 움직이는 용의자의 모습은 확인되지 않았다.

진입로가 최소 7곳이 넘어 접근을 어디로 했는지 범행 경로를 유추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경찰은 수색 인력을 기존 340여명에서 100여명 늘렸으며 수색 범위는 팔달산에서 수원 전역을 포함한 인접지역까지 확대했다.

7일 수색한 결과 신발과 옷가지, 여성 지갑 등 190여 점의 유류품을 발견했지만 대부분 사건과 무관했다. 다만 팔달산 수색 중 발견된 과도 1점에 대해 국과수에 감식을 의뢰한 상태다.

경찰은 사건의 유일한 단서인 시신이 담겨있던 검은색 비닐봉지와 그 안에 있던 목장갑의 출처 등을 조사하는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온라인 중앙일보
‘수원 팔달산 혈액형 A형’ '수원 팔달산 토막 시신 사건’ '수원 팔달산 검은 봉지 시신' '수원 팔달산 검은 봉지 토막 시신' '수원 팔달산 봉지 토막 시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