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종양 치료법 개선…국내서도 생존율 10%미만서 50%로 높아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소아종양(암)에 대한 치료요법의 현저한 개선과 관심의 증대로 소아종양환자의 생존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지난28일 서울에서 열린 한미수교 1백주년기념 대한의학협회·재미한인의사회 제6차 합동학술대회 소아과분야 심포지엄에서 연세대의대부설 암센터병원장 김병수 박사는 「한국소아종양의 양태 및 생존율」이란 발표를 통해 75년이후 국내 소아종양환자의 생존율은 10%미만에서 50%이상으로 현저히 증가되고있다고 보고했다.
국내의 경우 소아종양에 관한 전국적인 통계는 조사된바 없지만 미국의 경우 전체 암환자의 약 3%에 이르고있어 국내도 비슷한 비용일 것으로 추정하고있다.
이러한 소아종양은 종래 관심의 결여와 진단·치료의 미숙으로 거의 포기하던 실정이었다.
그러나 최근 소아외과·소아종양학과·소아방사선과 등의 상호보완적 작업을 통해 미국 등 선진각국에서는 60∼80%의 치료율을 나타내고있다.
국내에서도 75년이후 소아종양에 대한 최신기술이 도입되면서부터 대표적 소아종양의 하나인 백혈병의 경우 55%의 치료율(5년 생존율)을 보이고있다. 고가의 치료비 등 경제적 문제가 없을 경우는 약 70%의 비교적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국내 소아종양의 특색은 AML(급성골수성 백혈병)이 미국의 10∼15%에 비해 약 3배나 많은 35%에 달하며, 또 무태감염으로 인한 간암이 전체 소아종양환자의 6.2%에 달한다는 점이다.
소아종양의 경우도 치료의 선결조건은 조기발견이다. 따라서 소아과 의사간의 횡적교류를 통해 암이 진단되면 속히 적절한 전문적 치료를 받게하는 것이 최선이다.
김 박사는 소아종양이 불치병이라고 인식되어 치료를 아예 포기하거나 또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치료를 중단하는 사례가 아직도 많은 것이 국내현실이라고 말했다.
또 국내 소아종양의 치료개선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소아방사선과 의사가 부족하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성장이 막 시작된 소아에게 있어 부적절한 방사선조사는 장래 성장과정에 엄청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 만큼 이 분야의 전문의가 절실히 요청된다는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