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인터넷, 차별 안 받고 대륙 공략 … 전자상거래, 알리바바 등 국내 위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통신·정보기술(IT) 서비스와 유통 업종은 기대감과 우려감이 교차하고 있다.

 우선 통신은 중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현지 시장 진출에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은 별도의 협정문에서 ‘국내 통신업체가 차별을 받지 않고 서비스를 공급·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통신서비스에 대해 이 같은 별도의 협정문을 체결한 것은 한국이 처음이다. 미래창조과학부 손승현 통신정책기획과장은 “현지의 규제장벽을 낮추고 시장 변화의 예측 가능성을 확보했다”고 평가했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 업체들은 중국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는 여전히 어렵지만 무선인터넷, 위치기반 서비스 등 부가통신 서비스 부문에선 현지 업체와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반면 전자 결제 등 새롭게 부상하는 첨단 IT 서비스 분야는 우려가 크다. 알리바바·텐센트 등 중국 IT 대기업들이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전자결제 영업을 시작하면 국내 업체가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이미 각종 메신저를 통한 소액결제가 상용화한 상황에서 이들이 글로벌화된 플랫폼을 무기로 전자상거래·게임·금융시장에까지 침투하는 것은 충분히 실현 가능한 시나리오다.

 게임 산업의 경우 저작권 보호가 강화되고, 안정적인 유통망을 확보하는 효과가 예상되지만 그간 중국 진출의 발목을 잡아왔던 콘텐트 검열 같은 문화적 규제는 그대로여서 공격적인 진출엔 여전히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유통업계에선 화장품 업계의 수혜가 예상된다. 대표적인 무역수지 적자산업이던 화장품은 중국에 K뷰티 바람이 불면서 중화권으로의 수출 물량이 크게 늘고 있다. 현재 한국산 화장품에 적용하는 6.5~10%의 관세를 철폐하면 수요가 더욱 늘 수 있다. 주요 온라인 쇼핑몰도 관세 인하로 중국에서의 인터넷 쇼핑이 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여행업계에선 단계적인 비자 면제 범위 확대로 한국을 찾는 중국인이 늘고, 중국 현지에서의 직접 영업이 활성화된다는 점에서 기대감이 크다.

 그러나 패션업계의 수혜는 제한적이라는 전망이 많다. 중국의 인건비 상승으로 공장을 중국에서 베트남·미얀마·인도 등으로 옮긴 상황이라, 오히려 중국과 동남아시아 국가 간의 FTA 체결이 필요한 상황이 됐다는 것이다. 한·중 FTA가 생활물가를 낮추는 데도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일부 공산품은 생산원가가 높아져 유럽산 가격이 더 싼 가격 역전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며 “관세가 낮아져도 예전처럼 가격 우위를 점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손해용·박미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