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 폐기 2년 내 이뤄져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14일 "북한이 핵을 폐기하고 우리가 대북 직접송전을 준비하는 데 3년 정도를 잡았지만 기간이 더 당겨져야 한다"며 "핵 폐기에 필요한 시간이 2년이 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언론사 정치부장들과 만나 이렇게 말하고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도 3년이 아니라 그 안에 핵 폐기가 완료되어야 한다는 의지를 밝혔다"고 전했다.

정 장관은 "북한도 협상을 통해 핵을 포기하겠다는 의지가 있다"며 "지난달 평양 면담을 통해 확인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핵심 메시지는 미국과 우방이 되고 싶어한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또 "북핵 문제의 해결은 곧바로 북.미관계의 정상화라는 등식이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2002년 10월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의 중유공급 중단 결정은 심각한 문제였으며 중단 결정은 너무 성급한 것이었다"며 "대북 송전은 북.미관계 정상화의 중대 장애물이었던 대북 경수로 건설 및 중유공급 중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대북 송전에 지나치게 포커스(초점)가 맞춰져 있는데 언제, 어떻게, 무엇을 할 것인지와 같은 핵 폐기 시의 구체적인 방안은 6자회담에서 다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이번 중대제안의 핵심은 전력 공급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핵 문제를 극복해야 한다는 데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정 장관은 "국회의 동의에 관한 법률적 검토가 끝나지 않았지만 6자회담에서 합의가 이뤄지면 국회의 동의를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장관은 "김정일 위원장이 우리 핵은 우리 체제와 제도를 전복시키려는 것을 막기 위한 자위 억제력이란 점을 남쪽 국민에게 꼭 얘기해 달라고 부탁했다"고 공개했다.

한편 한.미.일 3국 6자회담 수석대표들은 이날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회담에서 ▶통상 3 ~ 4일인 본회담 일정을 대폭 늘리고▶각종 분과위원회를 활성화하며▶6자회담을 상설기구화하고▶회의 장소도 다양화해 중국 베이징(北京) 이외의 다른 지역에서 소그룹 회의를 여는 방안 등을 집중 논의했다.

이영종.박신홍 기자

*** 바로잡습니다

7월 15일자 2면 '북한 핵 폐기 2년 내 이뤄져야'란 제목의 기사와 관련, 통일부 김홍재 홍보관리관은 "핵 폐기 관련 언급은 정동영 장관이 콘돌리자 라이스 장관이 밝힌 내용을 전날 언론사 간부들과의 간담회에서 전달한 것일 뿐 정 장관이나 정부의 입장은 아니다"고 밝혀왔습니다. 통일부는 "미국 측 관계자가 '송전을 3년 안에 하는데 핵 폐기를 3년까지 갈게 뭐 있나'라는 입장을 피력했고, 라이스 장관도 '3년이 아니라 그 이전에 핵 폐기가 완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한 바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