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등'7대 신동력 사업'검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정부가 북핵문제 해결시 진행할 포괄적 경제협력 계획의 일환으로 에너지.철도.남북공동영농단지.백두산관광 등 '7대 신동력 사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정부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통일부는 최근 '포괄적.구체적 남북경협계획 세부 실천대책'을 만들었다. 대책에서 정부는 북한과의 경제협력 중점 분야로 '7대 신동력 사업'을 선정했으며 구체적인 계획 마련에 들어갔다고 이 관계자는 밝혔다.

7대 신동력 사업은 ▶에너지 협력▶철도 현대화▶남북 공동 영농단지 개발▶북한 산림녹화 협력▶백두산 관광▶남포항 현대화▶남북공유하천 공동 이용 등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신동력'은 남북 관계를 이끌어가는 힘이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철도 현대화는 북한과 러시아가 시베리아횡단철도(TSR)와 한반도종단철도(TKR) 연결을 위해 2001년부터 협약을 맺고 추진해온 분야다. 그러나 남한의 도움 없이는 사업 추진이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평양의 외항이자 북한의 대표적 항구인 남포항 시설을 개선하는 것도 남북 교류에 중요한 사안이다. 북한은 최근 김정일 국방위원장 지시로 부두 확장 공사, 구내 철길 건설, 야적장 확대 등 현대화에 나서고 있어 남측이 도울 경우 공사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남포항은 남한과의 교류 창구일 뿐 아니라 유럽에서 지원한 식량이 들어오는 등 북한으로서는 중요한 관문이다.

남북 공유하천 사업과 관련, 지난해 4월 개성에서 임진강 수해 방지 실무협의회 3차 회의가 열려 홍수예보 시설 설치 등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오갔다. 백두산 관광 역시 2000년 9월 열린 2차 남북 장관급회담에서 한라산과 관광교환 사업이 합의되는 등 꾸준히 관심이 이어졌다.

남북 공동 영농단지는 올해의 '주공전선'(주력분야)을 농업으로 선언하고 총력을 기울이는 북한에 지대한 관심사다. 북한 사이트에선 28일 "(하늘에서 목욕하러 온)선녀들이 어디에 몸을 숨기고 옷을 벗겠느냐"며 김 위원장이 녹화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통일부 측은 "7대 사업은 앞으로 남북관계가 어느 정도 수준에 이르면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사업 영역"이라며 "향후 추가 연구와 관련 부처 협의 등을 거쳐 최종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주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