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평균수명 한계, "120세가 임계치…'삶의 질'중점둬야"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인류 평균수명이 ‘최대 120세’라는 주장이 나왔다.

영국 더 타임스는 영국의료연구위원회 콜린 블랙모어 교수(70)의 말을 인용해 “의료기술에 발전으로 세계 인구의 평균 수명은 120세에 도달 것이며 이것이 인간이 살 수 있는 최대 한계 수치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블랙모어는 “평균 수명이 80세에서 최대 120세까지 늘어나겠지만 이것이 최대 임계값”이라며 “앞으로 우리는 얼마만큼 오래 살 수 있을 것인가가 아닌 건강하고 질 높은 노년의 삶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고 말했다.

그의 주장은 지난해, 미국 버크노화연구소에서 제시한 ‘평균 수명 500세 가능 설’과 배치되는는 견해라 주목받고 있다.

당시 버크노화연구소 판카즈 카파히 박사 연구팀은 세포 분화과정 실험에서 자주 쓰이는 선형동물인 예쁜 꼬마선충의 유전적 경로를 변경했다. 이를 통해 이들은 수명을 평균보다 5배로 늘어나게 하는데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 사람은 400~500세까지 살 수 있다는 것이 이팀의 주장이었다.

온라인 중앙일보
‘인류 평균수명 한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