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 비만 해당, 살 못 빼면 건강 장담 못해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14일 40여 일 만에 공개 석상에 모습 드러낸 북한 김정은 제1위원장. [뉴스1]

90㎏(2010년 10월 국내 언론에 사진이 처음 공개됐을 때)→120~130㎏(최근 40여 일간의 잠적 전)→110㎏ 내외(잠적 후).

공식 자료는 아니지만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대략적인 체중 변화다.

영국의 일간지 데일리메일은 14일(현지시간) “김정은 위원장이 비만 치료를 위해 중국에서 위(胃) 밴드 수술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기사에선 중국의 한 소식통을 인용, “김 위원장이 베이징에서 수술을 받았고 김 위원장이 노동당 창건 69주년 기념식 등 행사에 참석하지 못한 이유도 이 때문이었다”고 했다. 기사의 진위를 떠나 40여 일 만에 공식 석상에 나타난 김 위원장이 10㎏가량 빠진 모습을 보였다.

30대 초반인 김정은은 고도 비만이다. 키 1m75㎝, 체중 120~130㎏으로 추정되는 그의 신체 수치를 근거로 체질량 지수(BMI)를 산출하면 40 정도다. 비만도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BMI는 자신의 체중(㎏)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BMI가 30∼40 미만이면 고도 비만, 40 이상이면 초고도 비만으로 분류된다.

서울365mc위밴드병원 조민영 병원장은 “BMI 40 정도의 고도 비만이라면 지방세포에서 염증 물질이 과다 분비되면서 대사증후군을 포함한 각종 합병증이 발생 가능한 상태”이며 “젊더라도 체중 감량에 곧바로 들어가지 않으면 건강을 장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쯤 되면 단순한 식이요법이나 운동처방으론 문제를 해결하긴 힘들고 수술 등 의학적인 치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것.

고도 비만 환자들은 스스로 식욕 조절이 어려운 데다 김 위원장처럼 관절(또는 발목) 부상이 있는 사람이 섣불리 운동을 했다간 관절 건강만 악화될 수 있다.

수술은 가장 마지막에 선택하는 비만 치료법이다. 수술 도중 숨질 확률이 평균 0.3∼0.5%이기 때문이다. 대신 가장 확실한 체중 감량 효과를 안겨 준다. 비만과 관련된 사망률이 18.2%에 달하므로 고도 비만 환자에겐 수술이 ‘남는 장사’일 수 있다.

김 위원장 같은 고도 비만 환자 치료를 위한 수술을 배리아트릭(Bariatric) 수술이라 한다. 그리스어로 체중을 뜻하는 ‘바로스(baros)’와 치료를 의미하는 ‘이아트릭(iatrike)’을 합성한 단어다. 위 밴드술·위 우회술·위 축소술이 대표적이다.

배리아트릭 수술 중 가장 간단하고 부담이 적은 것은 위(胃) 밴드 수술이다. 수술 자체의 사망률은 0.05∼0.1%다. 위 밴드술은 식도와 위가 이어지는 부위를 ‘위 밴드’로 묶어 위장으로 음식이 덜 내려가게 하는 것이다. 개복해서 위를 직접 자르지 않아도 되므로 외과 수술로 인한 합병증을 줄일 수 있으며 회복이 빠르다는 것이 최대 장점이다. 수술이 잘못될 경우 밴드를 제거하면 원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단 밴드 안의 풍선 부위에 주기적으로 식염수를 채우는 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김 위원장이 위 밴드술을 받았다고 가정하면 수술 후 4~6주 사이에 1차 필링(밴드를 조여 주는 시술)을 위해 다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4~6주 지나면 몸속의 위 밴드가 자리 잡고 수술 상처도 거의 아문다.

위 밴드술을 받은 것만으로 만사 OK는 아니다. 매주 1㎏ 정도 감량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식사량을 평소의 3분의 1 이하로 줄여야 한다. 수술을 받기 전처럼 과식을 일삼는다면 식도 확장증이 생길 수도 있다. 천천히 꼭꼭 씹어 먹는 습관을 들이고 고지방·고열량 음식의 섭취도 자제해야 한다. 김정은이 즐겨 먹었다는 에멘탈 치즈는 100g당 열량이 255㎉다. 밥 반 공기(105g)의 열량이 150㎉인 것에 비하면 고열량 식품이므로 자제하는 것이 좋다.

위 밴드술의 적용 대상은 BMI가 35 이상이거나, BMI는 30~35 사이지만 비만으로 인해 고혈압·고지혈증·당뇨병·관절염 등이 동반된 사람이다. 국내에선 가톨릭대학 계열 병원·인천 길병원 등과 일부 개원가에서 시술되고 있으며 비용은 600만∼800만 선.

위 밴드 수술이 적용되는 환자들보다 체중·BMI가 더 높은 사람에겐 위(胃) 우회술이 추천된다. 위를 15~20mL 정도로 조그맣게 만들어 나머지 위와 분리시켜 놓은 뒤 이 작아진 위와 소장을 연결시키는 수술법이다. 따라서 섭취한 음식 대부분이 위와 십이지장을 거치지 않고 소장으로 바로 내려간다. 수술 받으면 살 빠지는 ‘소리’가 금방 들린다. 하지만 위를 최대 99%까지 잘라내 상당한 부담이 따른다.

가톨릭대 의대 대전성모병원 비만클리닉 이상권 교수는 “위 우회술을 받으면 수일 만에 분명한 당뇨병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비만수술뿐만 아니라 당뇨병 치료의 새로운 방법으로도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며 “복강경 수술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비용은 1000만원 안팎.

위(胃) 축소술(소매절제술)은 위의 불룩하게 나온 부분을 아래위로 길게 잘라 위를 원통 모양으로 만들어 주는 수술법이다. 이 수술을 받으면 위의 크기가 거의 10분의 1로 줄어든다. 역시 복강경 수술이 가능하며 비용은 900만원 정도.

고도 비만 환자들이 배리아트릭 수술을 받으면 한 끼 먹는 양이 밥과 반찬 모두 합쳐도 종이컵 하나를 넘지 못한다. 국내에선 배리아트릭 수술이 대부분 구멍 몇 군데를 뚫어 수술하는 복강경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회복이 빠르고 상처도 크게 눈에 띄지 않는다. 수술 시간은 보통 2시간 이내다.

박태균 식품의약전문기자 tkpar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