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교전 전사자 첫 해상 위령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서해교전 3주기를 맞아 당시 꽃다운 청춘을 조국에 바친 6명의 전사자를 추모하는 '해상위령제'가 처음으로 거행된다.

해군 관계자는 6일 "2002년 6월 29일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한 북한 경비정의 기습을 받고 전사한 고속정 '참수리 357호' 장병 6명의 넋을 추모하는 해상위령제가 24일 연평도 인근 교전 해상에서 처음 거행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위령제에는 전사자 6명의 유가족과 '357 전우회' 장병 20여 명, 해군 관계자 등이 참석할 예정이며 유족들이 교전 현장을 방문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해상 위령제는 24일 오전 전사자 6인의 위패가 봉안된 평택 2함대사령부 영내 법당에서 천도재를 올리고 두번째 한국형 구축함(KDX-I)인 을지문덕함(3000t급)으로 이동, 제문 낭독과 묵념, 해상 헌화 등의 순서로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유족들은 "늦었지만 의미있는 일이다. 고인들의 희생정신을 잊어서는 안된다"는 반응을 보였다.

서해교전 당시 357호에 승선했던 27명 가운데 정장 윤영하 소령, 조타장 한상국 중사, 병기사 조천형.황도현 중사, 내연사(기관장) 서후원 중사, 의무병 박동혁 병장 등이 전사했고 부정장 이희완 대위는 부상으로 오른쪽 다리를 절단했다. 정부는 고 윤 소령과 박 병장에게 충무무공훈장을, 나머지 전사들에게는 화랑무공훈장을 각각 추서했다.

김민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