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밥' 찾는 사람이 는다

중앙일보

입력

맛이 아닌 정을 나누는 ‘집밥’의 감성을 그리워하는 사람이 늘면서 집밥이 새삼 주목을 받고 있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밥과 국 한 그릇, 아삭한 김치와 담백한 밑반찬. 엄마가 차려준 밥상엔 값비싼 재료나 특별한 레시피는 없다. 손맛과 정성이 깃들어 있을 뿐이다. 요즘 이런 ‘집밥’을 찾는 이가 많다. 단순히 엄마가 만든, 집에서 먹는 밥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집밥에는 허기를 달래는 한 끼 이상의 의미가 있다.

 요즘 같은 때, 온 가족이 모여 밥을 먹는다는건 쉬운 일이 아니다. 시간에 쫓겨 아침을 거른 채 출근하고 저녁에도 야근이 이어진다. 허둥대며 빈 속으로 등교하는 중?고교생들은 밤에는 집 대신 학원으로 발걸음을 돌린다. 가족이라도 각자의 생활에 치여 함께 식사를 하기 어렵 평범한 ‘집밥’이 곳곳에서 화두인 이유다. 방송가에선 JTBC ‘집밥의 여왕’부터 KBS ‘밥상의 신’, 올리브TV의 ‘오늘 뭐 먹지’ 등 집밥을 모토로 한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다. 집밥을 제대로 만들 수 있는 레시피북과 에세이도 인기다. 각종 매거진들도 집밥에 얽힌 추억 나누기에 빠졌다.
 집에서 먹는 것 같은 정감어린 집밥을 컨셉트로 한 식당도 속속 문을 열고 있다. 흔히 ‘백반’으로 불리던 상차림이 깔끔한 1인 트레이에 올려져 기획상품화된 것이다. 식당들은 화학조미료를 쓰지 않고 신선한 제철 재료로 음식을 만들면서 매일 세끼를 먹어도 질리지 않는 메뉴를 선보인다.
 집밥의 감성을 그리워하는 이들이 늘면서 낯선 이들과 밥을 먹는 모임도 생겼다. ‘집밥(www.zipbob.net)’과 같은 소셜다이닝 사이트를 통해 모여 음식을 해먹거나 식당에서 함께 식사를 한다. 집밥의 박인 대표는 “1인 가구가 늘면서 집밥에 대한 향수가 짙어져 한솥밥을 나눠먹는 커뮤니티가 생겼다”며 “뜻 맞는 사람과 식사하는 문화는 강연을 듣거나 여가 활동까지 함께하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집밥 열풍에 대해 ‘배가 고픈게 아니라 정이 고픈 것’이라고 진단한다. 철학자 강신주 박사는 한 방송에서 “한 끼 때우기 위해 의무적으로 밥을 먹는 것은 사료이고, 한 끼를 먹더라도 감정을 나누며 정성스레 차려 먹는 것이 식사”라고 말했다. ‘집밥’ 이라는 단어 속에 ‘정성 들여 만든 음식’ ‘마음 맞는 사람과 나누는 건강한 밥상’ 같은 다양한 의미가 담겨 있는 것이다.

집밥 예찬론자가 말하는 “ 나에게 집밥이란 …”
 “세끼를 거의 모두 밖에서 해결하는데 ‘뭘 먹을까’ 생각하면 막상 먹을 게 별로 없어요. 그럴 때 마다 어릴 적 엄마가 싸 줬던 도시락 생각이 간절하죠. 싱글족에게 집밥은 ‘다독임’ ‘돌봄’ 같은 단어와 연결되는 것 같아요. 각박한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엔진이 바로 집밥이에요.”
싱글족 한영미(45)

 “집밥은 ‘시간을 공유하는 것’과 연결해서 얘기할 수 있어요. 소셜다이닝 ‘집밥’을 통해 낯선 이들과 밥을 먹고 공연이나 영화를 같이 보며 서로의 관심사에 대해 얘기하죠. 집밥 모임에서 다양한 사람을 만나면서 사고의 폭도 넓어졌고 새로운 네트워크도 생겼어요.”
직장인 임현(32)

 “엄마 마음은 다 같지 않을까요? 아들 둘을 키우고 있는데 늘 영양가 있는 밥상을 차려 주려고 노력하죠. 엄마가 해주는 집밥은 ‘안전한 먹거리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잖아요. 집 밖에서도 엄마 손맛을 가진 사람이 음식을 해주는 곳이 많아져 많은 사람이 속 든든하게 먹고 다녔으면 좋겠어요.“
주부 겸 요리연구가 홍신애(38)

<글=한진 기자 jinnylamp@joongang.co.kr, 촬영 협조="쌀가게" by 홍신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