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강민석의 시시각각

강경파 제압한 야당 표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8면

강민석
강민석 기자 중앙일보 논설위원
강민석
정치부 부장대우

세종대왕이랑 이순신 장군이 공동대표를 맡아도 어렵다는 야당이다. 조조(曹操)와 장비(張飛)론 될까. 야당이 ‘겉은 장비, 속은 조조’라는 문희상 비대위원장에게 진로를 맡겼다.

 “죄가 있다면 비대(肥大)한 죄밖에 없는데, 팔자인지…”라고 푸념하면서도 문 위원장은 의욕이 넘친다. 아직 오픈은 안 했지만 세월호특별법 문제에 “복안(腹案)이 있다”고 한다. 왠지 ‘조조’스럽다. “난 그냥 산돼지같이 돌파하는 스타일”(본지 인터뷰)이라고도 했다. 이건 ‘장비 스타일’이다. 실제 22일 비대위 첫 회의에선 계파 해체 선언을 밀어붙이고, 군기도 좀 잡았다.

 “공당은 기율(紀律)이 생명이다. 이제 당 기강을 해치는 해당 행위엔 엄정한 대처가 따를 것”이라면서다.

  말이 떨어지기 무서웠다. 국회 기자실로 조경태 의원이 찾아왔다. 그는 ‘비대위 즉각 무효’를 요구했다. ‘당 해체’까지 거론했다. 중도파가 비대위에 배제됐다는 이유였다. 계파 해체를 선언하며 비대위가 출범하는 첫날에 계파 문제로 소금을 뿌렸다. 이게 지금 야당이다. 문 위원장이 군기를 잡으려 한 건 이른바 ‘강경파’들이다. 존재는 하지만 실체가 모호하다. 자타 공인의 ‘검증된 강경파’도 있지만 그 자체가 계보는 아니라 매번 얼굴이 다르다. 오늘 당을 해체시키자고 부르짖는 강경파가 어제는 온건파였다.

 늘 암적 존재인 것도 아니다. 여든 야든 때론 그들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대외적으로 협상력을 키워야 할 때, 대내적으로 불평을 깔아뭉개야 할 때 특히 유용하다. 그래서 지도부가 흔히 강경파를 호위무사로 둔다.

 그러나 위험하다. 박영선 원내대표를 자기가 만들었다고 큰소리치던 의원들이 퇴진운동에 앞장선 게 증명한다. 강경파는 변화와 변절, 합의와 야합을 구분하지 못한다. 마음속 탐욕과 의욕도 혼동한다. 세상에 경험 많고 노련한 강경파란 없다.

 박 원내대표와 강경파들은 대략 이런 마음속 대화를 진행하다 잡은 손을 놓고 정면충돌했을 것이다.

 ▶강경파="행동이 약속한 거랑 다르잖아.”

 ▶박영선="약속한 걸 조금 바꾼 거지.”

 ▶강경파="바꾼 게 아니고… 거짓말이잖아.”

 ▶박영선="그게 정치야.”

 문 위원장은 어떻게 강경파를 컨트롤할지 모르나 박영선-강경파 충돌 과정에서 강경파의 급소를 봤다. 야당이 가까스로 박영선 탈당 파문을 봉합하고, 문희상 비대위로 나아갈 수 있었던 분기점은 전수(全數)조사였다.

 조정식 ·박범계 의원 등 원내 당직자들이 소속 의원 전원에게 박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를 묻는 전화여론조사를 했더니 절대다수가 박 원내대표의 즉각 사퇴를 원치 않는 걸로 나타났다. 그러자 상황이 깔끔해졌다. 어디 한 번 해 보자던 강경파의 목소리가 소수임이 확인되는 순간 들리지 않았다.

 변형된 형태의 표결로 상황을 정리한 거다.

 사실 과격한 목소리의 뿌리는 스스로 약해 보이지 않으려는 데 있다. 자기들이 한 끗발 위에 있음을 과시하기 위한, 혹은 열세를 커버하기 위한 잘 계산된 행동이 강경론이다.

 이런 허풍을 벗기는 것이 ‘수(數)의 정치’다.

 수는 오묘하다. 다 끌어모아 갖고 다닐 필요도 없다. 필요한 만큼만 있으면 된다. 그만큼 동맹군을 모으려면 싫어도 소통해야 한다.

 일전에 온건파 초선 의원이 “우리 당은 의총에서 표결 같은 건 해 본 적이 없다”고 말하는 걸 들었다. 말만 많고 결론은 없는 야당 의원총회의 권한을 확인해 봤다. 당헌은 ▶원내대책의 심의·의결 ▶입법정책 및 법안·의안의 심의·의결을 권한으로 명시하고 있다. 의결(議決)이 뭔가. 어떤 결의안에 대해 ‘찬성과 반대하는 수’에 따라 가부(可否)를 가리는 민주적 절차다.

 합의로 문제를 풀 수 있다면 표결은 필요 없다. 그러나 그게 안 되면 주요 현안의 경우엔 시쳇말로 ‘까보는’ 거다. 카톡방 여론·인터넷 댓글·리트윗 숫자의 착시에서 벗어나려면, ‘합리적 중간’ 여론을 양지로 끌어올리려면, ‘이유 없는 강경’을 발가벗기려면 표결이다. 표결이 진실이고, 권력일 수 있다.

강민석 정치부 부장대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