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비밀접촉은 시기상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회는 8일 남덕척국무총리와 신병현부총리 및 경제각료들을 출석시킨 가운데 경제문제에 대한 본회의대경부질문에 들어간다.
이날 질문에는 김영생(국민)·허경만(민한)·김종기(민정)·우태극(의정) 등 4명의 여야의원이 나서 제5차 5개년 계획·세제개혁·추곡수매를 비롯한 농수산정책 등에 관해 따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정치·외교·안보문제에 대한 대정부 질문 마지막 날인 7일의 본회의에는 정원민·김진재(이상 민정) 김노식(민한) 의원 등 3명이 나섰다.

<질문· 담변 요지2면>
남총리는 7일 의원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사다트」대통령의 서거가 이집트의 외교정책에 별 영향을 주지 앉을 것으로 보며 따라서 우리의 대중동관에도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하고 그러나 정부는 이 사태를 중시해 적절한 대응을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남총리는 『미국과 NAT0국가들과의 방위조약이 자동개입이라는 측면에서 한미상호방위 조약과는 차이가 있으나 전두환대통령의 방미로 주한미군철수계획이 백지화되었고 한미관계가 긴밀해진 만큼 조약상 표현의 차이는 큰 문제가 아니라』고 말했다.
『일본의 헌법상 한일간 군사협력은 어렵다』고 말한 남총리는 『한미일 3각 안보체제는 그같은 사정을 기정 사실로 받아들이면서 다른 방법으로 일본이 응분의 역할을 맡도록 촉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영복국방장관은 『전쟁발발시 수도 서울은 시민들의 동요로 많은 혼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사전에 관계부처와 협의, 충분한 홍보대책을 마련하고 필요한 군사도로는 군이 확보·사용하는 동시에 전쟁질서가 회복될 매까지는 일체의 시민이동이 없도록 통제하겠다』고 밝히고 『주민이동 순서에 따라 효과적으로 이동토록 할 방침』 이라고 밝혔다.
주장관은 한미연합으로 최신의 고성능 감시체제를 갖춰 조기경보체제를 완비했으며 충분한 시간안에 전투준비를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고 밝히고 한미합동으로 종합 분석한 결과 적어도 12개 이상의 땅굴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범석통일원장관은 1·12 및 6·5제의의 실현을 위해 비밀경로를 통해 비밀접촉을 하는 것은 우리에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