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경사 겹친 창원시민"-작년에 시 승격된 후 도청까지 유치 성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진주다, 마산이다』-. 두 시가 부산의 직할시 승격(63년)이후 20년 가까이 맞서온 「경남도청 유치경쟁」이 막을 내렸다.
국회의원선거가 있을때마다 두 시의 후보자들이 서로 내세웠던 도청유치공약도 「영원한 공약」으로 남게됐다.
3백50만 경남도민의 숙원이자 관심의 대상이 돼왔던 도청이전 지역은 입법회의 내무위가 27일 「경남도 사무소의 소재지변경에 관한 법률」을 의결함에 따라 창원으로 결정돼 83년 7월 1일까지 옮겨지게 됐다. 『혹시나』하고 미련을 버리지 못했던 진주나 마산시민들은 이제 「지난날의 꿈」으로 들려버려야겠지만 창원시민들은 지난해의 시 승격(4월1일)에 이어 1년만에 또다시 「도청소재지의 시민」이란 긍지를 안게됐다.
경남도청의 창원이전 결정을 계기로 그 배경과 준비상황 등을 살펴본다.

<이전 배경>
도청의 창원이전은 그동안 「알려진 비밀」이었다. 정부당국은 이미 77년부터 이곳을 제1의 이전후보지로 내정, 새 청사를 앉힐 자리까지 점찍어둔 채 그 준비작업을 진행해왔었다.
당국의 이 같은 결심은 창원이 경남의 중심지인데다 교통의 요충지이며 뉴타운으로서 비교적 값싼 넓은 공지를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이었다.
경남도롤 중·동·서부지역으로 나누어 볼 때 창원을 중심으로 한 중부엔 도민의 49%가 살고있는데 비해 진주를 중심으로 한 서부엔 31%. 울산을 중심한 동부엔 20%가 살고있다.
또 남해고속도로의 중간지점으로 구마고속도로의 시발점 인근인데다 경전선의 주요 경과지역이며 충무·거제·남해를 잇는 해상교통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창원을 기점으로 마산-진해-진주-울산 등 도내 4대 도시를 출장할 경우 거리의 총 연장은 1백92·2㎞인데 비해 진주를 기점으로 할 경우는 3백70·2㎞로 거의 2배나 된다.
거기다 74년 창원기계공단이 조성되면서 호주의 행정도시 「캔버라」시의 모형을 도입, 그 배후도시로 조성되고 있는 창원시는 많은 공지가 있는 데다 마산이나 진주에 비해 땅값도 싸다.
도청사와 유관기관을 옮기자면 보통 11만2천여평의 부지가 필요하다. 현재 이 지역의 땅값은 평당 11만원 꼴로 부지매입비가 1백23억2천여만원이면 된다. 그러나 도청을 진주나 마산으로 옮길 경우 넓은 공지도 구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땅값도 평당 20만∼30만원이 넘어 부지매입비가 2∼3배나 더 들게 된다는 계산이다.

<준비상황>
넓이 1백23·4평방㎞에 18개 동 2만1천6백여 가구 12만5천여명이 살고있는 창원이 출장소에서 시로 승격된 것은 지난해 4월1일. 그러나 도청이전 부지로 예정된 것은 창원기계공단의 배후도시로 새 도시건설계획을 짜던 4년전의 일이다.
경남도 당국은 이에 따라 우선 시청 동북쪽 3백m거리에 위치한 용지동 일대에 2만4천4백53평을 확보, 이미 부지정리 작업까지 마무리지은 채 착공시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이와 함께 법원지원·검찰지청·농협·수협 등 24개 도 단위 유관기관의 청사부지 6만2천평도 확보됐고 조달지청은 청사까지 완공, 이곳에서 업무를 보고있는 실정이다. 도 당국이 계획하고 있는 도청 신축예산은 2백89억4천4백만원 규모. 건물은 부지 3만7천평에 연건평 1만2천9백여평(4층). 이중 본 청이 건평 7전9백평, 경찰국 2천평, 충무시설 9백평, 교육원이 2천평. 이와 함께 관사가 대지 1만평에 연건평 2천l백86평, 중기사업소가 대지 3천평에 건평4백80평(2층)으로 각각 계획돼있다.

<전망>
경남도청이 맨 먼저 자리잡은 곳은 진주로 1896년 고종33년 때의 일이지만 부산으로 옮겨진 것은 그로부터 29년 뒤인 1925년 일본에 의해서였다. 이는 경남도민의 행정편의를 위해서가 아니라 그들의 대륙진출을 위한 편의 때문이었다.
이 때문에 그 동안 경남도민의 불편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거기다 지난 63년 부산이 직할시로 승격, 독립하자 도 행정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됐다.
도 공무원은 도민과의 접촉기회가 적어 대민 봉사행정에 어려움이 많았고 도민들은 남쪽에 위치한 도청까지 오가느라 돈과 시간의 낭비를 감수해야 했다.
그래서 도민의 숙원은 도청을 하루속히 옮기는 문제였고 마산과 진주간의 도청유치 경쟁도 여기서 비롯됐다. 또 한때는 함안과 울산이 이전 적지라는 주장도 있었다.
어쨌든 오랜 입씨름 끝에 도청소재지가 창원으로 결정됨에 따라 도민의 불편은 크게 풀려지게 됐다. 또 도청은 도청의 구심력을 한층 강화, 도민화합과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게 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