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재처리 안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북한 외무성 대변인이 18일 "폐연료봉들에 대한 재처리를 성과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밝힘에 따라 실제 재처리가 이뤄졌는지에 촉각이 곤두세워지고 있다.

◆"재처리 하지 않았다"=국방부는 "한.미 정보기관의 공동평가는 북한이 재처리시설 가동을 위한 준비는 해 왔으나 재처리시설 가동 징후는 현재까지 식별된 바 없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또 한 정보당국자는 3월 초에 미국을 비롯한 유관국에 중간 통보를 했다는 북한 외무성 대변인의 발언에 대해 "금시초문"이라며 "미국에 통보를 했다면 미국이 우리 정부에 말하지 않을 리 없는데 전혀 통보를 받은 사실이 없다"고 강조했다.

또 한.미 정보관계자들도 "북한이 재처리를 하지 않았다"면서 "외무성 대변인의 발언은 폐연료봉을 재처리하기 위한 준비를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라고 설명한다.

북한 영변 핵단지 내 5㎿e 실험용 원자로 인근에 있는 폐연료봉 저장탱크(수조)에 보관 중인 8천8백여개의 폐연료봉의 봉인을 제거했을 수는 있으나 재처리를 하지 않았다는 게 정보관계자들의 공통된 입장이다.

폐연료봉을 재처리하기 위해서는 수조에 보관된 폐연료봉의 봉인을 제거한 뒤 재처리시설인 '방사화학실험실'로 옮겨야 하는데, 이 정도 절차를 진행한 것으로 관측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이 제한선으로 설정한 재처리는 폐연료봉에서 무기급 플루토늄을 추출하기 위해 방사화학실험실을 가동하는 것인데, 실험실을 가동한 징후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는 게 정보관계자들의 분석이다.

◆"어떻게 파악하나"=한.미 정보당국은 북한이 재처리에 돌입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24시간 감시체제를 가동하고 있다.

영변 핵단지를 밤낮없이 들여다 보는 '첩보위성'을 비롯해 북핵 사태 이후 미군이 한반도에 배치한 정찰비행기 등이 영변의 방사화학실험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정보 관계자는 "북한이 재처리를 시작하면 방사화학실험실에서 연기가 나오는 등 3~4가지의 징후가 발견된다"면서 "그러나 아직까지 이런 징후가 수집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철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