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민후계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올해부터 농어민후계자육성계획이 본격적으로 시행에 옮겨져, 농어업 인력의 충실, 그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케한다.
부정 축재환수금 4백여억원을 기금으로하여 운영되는 농어민후계자 육성은 앞으로 6년간 1만4천7백36명을 농어촌에 정착시킨다는 목표아래 30세 이하의 농어촌 청소년에게 저리·중기자금을 지원한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말하자면 가장 노동력이 충실한 청소년층에게 농어촌에서의 사업대금을 지원해줌으로써 농어업노동력을 일깨우며, 또 그들이 습득하고 있는 새로운 영농·영어기술을 활용할 기회를 제공한다는데 큰 뜻이 있다.
이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농어촌을「리드」하는 새「그룹」이 탄생될 가능성도 있다.
우리의 당어촌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은 영농규모의 영세성, 기계화를 제약하는 농지조건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그에서 비롯되는 생산성의 저하로 식량의 증산이 한계에 부닥치고 있는것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진 현상은 책장년층의 이농이 점차 확대되어 농어촌 노동력의 질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농수산부 통계에 따르면 76년의 이농자수는 45만9천명이었고 그가운데 청장년층은 42%인 19만3천명이었던 것이 79년에는 64만4천명의 47.2%인 30만4천명으로 증가, 靑壯年층 의이농경향이 특히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물론 이농의 점증은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불가피한 인구이동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며 산업간의 소득균형을 이루기 위한 자연적인 인구조정으로 해석할 수가 있다.
산업이 고도화하면 할수록 농어촌의 노동력을 타산업이 횹수해 가야하는 것이므로 도·농간의 인구배치가 역전되고 그래서 농어업의 소득수준도 상대적으로 도시수준을 따라가게 마련인 것이다.
농가인구가 81년에 전체의 27.5%인 1천68만명에서 86년에는 9백41만명, 22.4%로 감소하는 반면 호당경지면적은 1.1정보에서 1.2정보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것도 바로 산업구조개편의 진전을 말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농어가 노동력이 타산업으로 이전한다고 해서 잔존 노동력이 고령자나 부녀자의 증가를 뜻한다면 국민생존의 절대조건인 식량생산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칠것이 우려된다.
현실적으로 79년의 농어촌 노동역중 노령자는 1백53만5천명으로 전체의 31.4%, 부녀자는 2백17만8천명으로 44.6%를 점해 노동력의 약화를 입증하고 있다.
왕성한 노동의욕과 새기술을 익힌 청년층이 더 나은 조건을 찾으려고 도시로 진출하기만 한다면 농어촌의 생산성을 올리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되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특히 농업교육을 받은 인력이 타산업으로 전출해간다는 것은 교육투자의 낭비일 뿐이다.
그러므로 정부가 의욕이 있고 유능한 젊은이를 농어촌에서 활약토록 자금지원을 한다는 것은 단순히 농어촌의 생산활동에 활기를 불어넣는다는 것 외에도 인력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기한다는 측면도 볼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정부는 단 한번의 자금제공으로 농어촌 청년을 우대했다고 할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정책적 뒷바라지를 해주어 사업의 계속성을 견지토록 해야한다.
또 농어촌을 육성하려는 젊은이는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분야를 꾸준히 연구하고 개발하여 스스로 일어설 수 있는 발판을 구축해야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