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침체의 타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증권 시장의 주가가 최악의 상태에 빠져든 채 호전될 전망이 전혀 보이지 않고 있어 오늘의 경제 현실에 대한 냉정한 진단을 요구하고 있다.
증시가 길게는 78년부터, 짧게는 지난 5월초부터 계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것은 우리의 경제 여건이 그만큼 장기간 악화되어 왔다는 것을 뜻한다.
증시는 바로 경제의 「바로미터」로서 경제 상황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증시의 주가 동향을 보면 지난주 초까지 그나마 보합세를 유지하던 것이 11일부터 폭락세로 접어들어 13일의 종합 주가 지수는 134·7 (75년1월4일=100)로 바닥에 내려갔으며 증시 회복선 등이 있었으나 15일에도 135·5에 머무르고 있다.
약정 대금 역시 지난 주초의 53억원에서 주말인 15일에는 14억원으로 줄어들었다.
11월8일의 경기 회복 조치에도 불구하고 증시의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지고 있는 것은 경기 대책의 내용이 기대 이하로 제한적이었다는 것과 대기업의 자금난과 배당 난망설, 소액주주 배당 세율 인상 등 악재가 겹치고 있는데 원인이 있다.
그래서 시기적으로 연말 경기가 다가오고 있는데도 새로운 투자가 들어오기보다는 오히려 빠져나가는 현상을 드러내고 있다.
단기적으로 진단해도 증시의 회복을 어렵게 하는 요인들은 한두가지가 아니며, 또 이들 장애 요인들을 제거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그동안의 경기 침체 등으로 앞으로 기업의 현금 배상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등 매력 있는 투자유인들은 거의 없다시피 하다.
그 위에 사회적 불안을 일으킨 여러 가지 상황들이 가세하여 투자자의 투매 심리를 위축시키고 현금 보유 성향을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
따라서 증시를 살리는 당이 대책으로는 강력한 경기 회복책을 다시 강구하여 경기 호전을 가져오는 계기를 마련하는 방안이 시급하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으로는 정치·경제·사회 안정의 실현으로 기업의 경영 의욕과 가계의 정상적인 구매 의욕을 살려야만 한다는 것이다.
오늘의 우리 경제가 안고 있는 가장 근원적인 문제점은 기업의 투자 욕구나 가계의 구매 활동을 일깨우는 데에 있다.
어떤 비상 수단이나 충격적인 조치로 경제 활동을 자극시킨다는 것은 무리이며 기대한 것 이외의 역효과를 초래할 위험이 더 클 뿐이다.
우리의 경제 운용이 민간주도 경제를 지향하고 있다면 기업 활동을 위한 자율적인 결정을 최대한 보장하는 경제 체제를 의미할 것이며 이야말로 자유시장 경제가 보유하고 있는 최대의 장점을 충분히 발휘토록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의 경제나 사회 구성인자 중에는 흔히 기업성 악설과 같은 왜곡된 시각이 없지 않다.
그 결과 가뜩이나 세계적인 경기 후퇴에 영향을 입어 경기 침체 속에 허덕이는 한국 경제를 더한층 구석으로 몰아넣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왜곡된 경제관 내지는 기업 허가 의식을 시정해야만 우리 경제의 활력을 되찾게 되고 사회 안정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오늘의 증시는 우리 경제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비추어 주고 있다는 것을 모두가 인식하고 어떠한 활로가 모색될 수 있는가를 찾는 중지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은 기업·가계의 의욕이 자생하도록 뒷받침해 주는데서부터 출발해야 된다는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