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지역 과학기술|정보망을 만든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아시아」지역 과학기술 정보망이 구축된다. 한국과 중공을 포함 한 「아시아」7개국(한국·중공·「인도네시아」·「말레이지아」「필리핀」·태국·「싱가포르」)은 지난달 22∼26일 사이「방콕」에서「아시아」지역의 정보교류를 위한 전문가회의를 열고 「유엔」기금으로 81년부터 사전작업을 시작하기로 했다.
이 정보망 구축은 지난해 8월「빈」에서 열린「유엔 과학기술회의에서 개도국의 발전을 위해서는 국제적 정보유통망이 중요하다는 권고를 각국이 받아들임으로써 구체화 됐다.
이에 따라 중공을 제외한 각국은 우선 자국의 정보자원과 수요에 대한 조사에 들어갔는데 한국은 과학기술정보 「센터」가 맡아 금년 말까지 조사키로 했다.
회의에서는 과학기술 정보망의 단기·장기목적을 실정하고 이의 달성을 위해 1단계사업(81∼82년)과 2단계사업으로 나눠 우선 1단계 사업을 확정했다.
단기목적은 지역적 수준과 국가적 수준이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역수준
▲연구개발·경영 등의 정보에 있어서 지역국가사이의 「실제적」협력촉진 ▲정보전문가훈련 ▲과학기술 및 사회경제분야 「데이터·베이스」생산촉진
국가수준
▲지역정보망수요에 응할 수 있는 자국정보조직정비 ▲지역정보「서비스·센터」(CRIS)의 선정.
장기목적으로는 모든 참가국에 표준화 된「컴퓨터」「온·라인」정보망을 완비, 다른 국제적 조직과의 연결을 통하여 이 지역의 과학기술 점보유통을 장학한다는 것이다.
「아시아」에서의 정보유통은 개도국이 겪어야하는 시해착오를 작게 줄이고 중복연구 등을 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전문연구기관을 전문정보기관으로 선정해 육성함으로써 깊이 있는 정보획득이 가능하다.
우리 경우는 회원국에 국내「서비스」가격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추가수입은 물론, 선진국에서 비싸게 사들여 오는 각종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가격을 분담하는 효과도 있다.
과학기술정보유통은 결국 사회경제정보의 유통과도 직결되기 때문에 동남아 자원 국에 대한 정책 수립 및 협력관계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과학기술정보망은 이미 EC국가에서는 확립되어 정보유통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유러네트」라 불리는 이 정보망을 통해 참가국들은 타국의 정보를 「컴퓨터·터미널」을 이용, 바로 「프린트」해서 받아보는 단계에 이르렀다.
한편 이번 학회에서 한국은「정보유통시스템」의 모법국가로 인정 돼 참가국들의 관심을 끌었다.
장재열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