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 무허가 신학교|종교계의 자체 통보가 바람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기독교계의 무허가 학교 난립은 종교계 뿐 아니라 일반의 사회·교육 문제로 비화, 물의를 빚고 있다. 최근의 실태 조사 발표(본지 7월23일자 보도)에 대한 기독교계의 반응은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시정돼야 안다』는 의견이 높다. 여기에 기존 신학대학의 점진적 충원과 무인가 신학교의 부분적 규제를 통한 조정이 바람직하다는 김용옥교수(감리교회학대학장)의 의견과 이에 대한 한기복 문공부국장의 견해를 삼는다. <편집자주>
일반적으로 입학 교육은 두 가지 큰 뜻을 지닌다. 첫째는 기독교 선교 사업에 이바지할 전문가의 양성이고 둘째는 신학의 학문적 성격을 지켜 나가고 교육하는 일이다. 이 같은 인간 교육의 바탕 위에서 학교에 따라 특징과 강조 점에 차이를 둘뿐이다.
외국의 신학 교육도 사정은 비슷하다. 교육의 형태로 볼 때 2, 3개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유럽」·미주지역 ▲「아시아」 지역과 「라틴·아메리카」 등 제3세계 지역 그리고 ▲제 3세계 지역의 특수한 현장 등으로 나뉜다.
「유럽·미주의 경우, 신학 교육은 법학이나 의학 계통과 마찬가지로 대학원과정으로 두고 있다. 일반대학 4년을 마치고 나야 「포스트·그래듀에이트」과정으로 「성직자에의 길」로 들어 갈 수 있는 것이다. 우리 나라와 마찬가지로 「아시아」지역이나 제 3세계의 대부분은 대학 과정으로만 신학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 하나 교회의 수요에 따라서 오지나 벽지에서 포교 운동 할 사람을 양성하는 특수 신학교를 제 3세계 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것도 현실이다.
무인가 신학교가 우후죽순처럼 설립한다고 하지만, 우리의 정규 신학 교육 수준은 매우 높다.
대학령에 의한 4년제 신학대학(9개)이 주류를 이루고있으며 교수의 질이나 학생 수준도 상당하다.
총신대의 경우 10명의 전임 교수가 있으며 이중 9명이 철학 또는 신학 박사 학위를 갖고 있다. 이는 4년제 대학이라면 어디나 마찬가지다. 최근 들어 신학대를 지원하는 학생 수도 급증하여 질적으로도 매우 수준 높은 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는 한국 교회의 교세 확장과 비례하는 자연스런 현상이다.
무인가 신학교가 난립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은 아니지만 우선 교세 확장에 따른 자연 현상으로 보고 해결책을 모색해야한다.
10년 전 만해도 전체 인구의 7%를 차지하던 기독교인이 현재는 2O%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교회를 지도할 성직자에 대한 수요 또한 커지고 있는 것이다. 성직자의 길은 멀고 고통스럽다. 신학대를 나와 10년간의 수련을 마쳐야「성직자」의 자격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과거 20년 동안 신학대의 신설·정원이 무슨 이유에서인지 늘어나지 않았고 따라서 성직자를 양성한다는 명분의 무인가 신학교도 자동적으로 늘어난 것이다.
당국이 이 같은 사정을 알면서 과감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던 것도 설립의 또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이렇게 볼 때 무인가 신학교에 대한 대책은 두 가지 방향에서 세워져야 한다고 본다. 첫째, 문교 당국에서는 대학 정원을 늘려줌으로써 기존 신학대에 성직자 지망생들이 몰리도록 하여 무인가 신학교를 자연 도태 되도록 할 것. 둘째로 교단 자체에서 법적인 테두리를 벗어나지 앉도록 스스로 자제하는 일이다.
어느 쪽의 책임이 더 큰가는 닭과 달걀의 문제일 뿐이다. 정원의 대폭 증원에 앞서 우선 학교의 시설·교수진·재정의 확보도 필요하다. 장기적으로 신학 교육도 대학원 중심으로 돼야한다는 안목을 갖고 점차적으로 여건을 갖추도록 문교 당국이 지원해야 하며 이미 시설을 어느 정도 갖춘 학교부터 정원을 늘려줘야 한다.
무인가 신학교도 이미 많은 투자가 있었던 만큼 영세한 학교 시설은 연합·통합시켜 이용하는 길을 더 줘야한다. 무허가 대폿집과 달라 신학교는 공익성을 띤 곳인 만큼 일도 양단의 해결책만이 능사는 아니다.
덧붙여 말해두고 싶은 것은 신학대학은 앞으로 사회교육의 장도 되어야 하겠다는 것이다. 종교인으로 사회에 나간 공무원·회사원 등 성인들을 재교육하여 늘 새로운 사고 방식을 충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