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0 끝나면 … 새정치련 계파 전쟁 예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7·30 재·보궐선거 직후 새정치민주연합의 당권경쟁이 격화될 조짐이다.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가 무대가 될 공산이 크다.

 조강특위는 지난 3월 민주당과 안철수 진영과의 합당 후 공석이 된 전국 246개 지역위원장(조직책)을 정할 기구다. 주승용 사무총장이 당연직 위원장으로, 각 지역의 조직책을 선정한다.

 재·보선 승패에 상관없이 계파별로 전선이 뚜렷하게 형성될 것이란 관측이 많다. 박영선 원내대표는 27일 “몇몇 지역에서 위원장 후보로 2~3명이 나와 경쟁하는 구도가 되다 보니 계파별 권력투쟁이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새정치연합이 본 궤도에 오르는 과정이니 너무 부정적으로 볼 건 아니다”고 강조했다.

 주승용 사무총장도 “현재 당이 과도기적 상태라 조강특위에서 싸움이 있을 수 있다”며 “재·보선 결과에 따라 (조강특위 내 주도권을 염두에 두고) 지도부 흔들기가 본격화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새정치연합은 합당 당시 당권의 기반이자 유력한 20대 국회의원 후보자인 지역위원장을 정하지 않았다. 현재로선 현역 의원은 무난히 지역위원장으로 선출될 것으로 보이나 문제는 ‘안철수 신당’ 출신들과 민주당 출신 위원장들이 복수로 있는 ‘원외 지역위원장’ 자리다. 당 관계자들은 이런 곳이 적어도 수십 곳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합당 시 안철수 대표 진영과 민주당은 ‘5대 5’ 정신에 합의한 상태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2명의 원외위원장을 공동으로 두자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주로 안 대표 측근들의 주장이다.

 그러나 민주당 출신의 한 중진 의원은 “안 대표 이름을 팔아 지역위원장을 하려는 건 말도 안 된다”며 “화학적 결합을 해야 할 때 계속 (지분을 통한) 물리적 결합을 요구하면 다 죽는다”고 일축했다.

  당권을 노리는 일부 중진의 움직임이 변수로 작용할 듯하다.

 호남 중진 박지원 의원은 최근 친한 의원들에게 “모든 불만은 7·30 이후로 미루자”면서 물밑에서 세를 규합하고 있는 상태다. 익명을 요구한 초선 의원은 “재·보선 당일부터 계파별 모임이 예정돼 있다”며 “선거 결과에 따른 지도부 심판 얘기와 조기 전당대회 문제가 나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문재인 의원이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장외투쟁 전면에 나선 것도 주목된다. 7·30 이후를 보고 친노그룹 결집을 시도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조기 전대를 하게 되면 조강특위는 한시적 기구인 당 비상대책위원회가 주관한다. 전대를 앞두고 비대위에서 조직책을 정하면 더욱 시끄러울 수 있다. 다만 김한길·안철수 지도부가 7·30 재·보선을 선방하면 조기 전대 요구 자체가 어려워진다.

이지상·이윤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