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저가 스마트폰 루미아 530 공개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마이크로소프트(MS)가 24일(현지 시간) 공개한 저가 스마트폰 루미아530.

세계 최대 소프트웨어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MS)가 지난 4월 노키아와의 합병 이후 처음으로 저가 스마트폰을 내놓았다.

2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MS는 윈도 운영체제(OS)를 탑재한 저가 스마트폰 ‘루미아530’을 공개했다. 4인치 스크린에 퀄컴 쿼드코어 프로세서를 탑재한 기본 사양은 삼성전자·애플의 스마트폰보다 떨어진다. 그러나 가격은 보조금을 빼고 115달러(약 12만원)에 불과하다. MS는 루미아530을 통해 중국·인도 등 신흥국 저가폰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전략이다.

MS가 이윤이 많이 남지 않을 저가 스마트폰 시장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모바일 OS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MS는 과거 도스와 윈도로 이어지는 PC 운영체제 시장을 독점하며 막강한 영향력을 확보했지만, 2000년대 후반부터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신성장 분야에서 애플과 구글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여기에 스마트기기의 대중화로 PC 사용률까지 떨어지면서 윈도 판매량도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반면 구글은 안드로이드가 스마트기기 OS 시장을 지배하면서 자연스레 같은 계열인 크롬OS가 PC시장에서의 범용성을 높이고 있다.

이에 MS는 자사 윈도 OS를 탑재한 저가 스마트폰 공급을 확대, 그간 스마트폰 시장에서 외면받던 윈도 OS의 보급을 늘려 구글 안드로이드와 애플 iOS를 따라잡겠다는 것이다.

앞서 MS는 지난 15일 20만원대 ‘저가 노트북’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MS는 연내에 HP를 통해 199달러(약 20만 5000원)짜리 윈도 기반 노트북을 출시한다. HP는 7~8인치 크기의 윈도 기반 패블릿(태블릿과 스마트폰의 중간 크기)도 99달러에 내놓기로 했다. 윈도 운영체제의 가격도 크게 낮췄다. 지난 2월 MS는 소비자 가격 250 달러 미만의 PC 및 디바이스 판매업체에 윈도 8.1의 라이선스 비용을 최대 70% 까지 인하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어느 기기에서든 MS의 OS와 오피스 소프트웨어를 쓸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 확산’에 힘을 쏟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모바일 운영체제의 승자 구글이 PC 시장을 잠식해가는 걸 차단하자는 목적도 있다.

케빈 터너 MS COO는 “PC 시장에서 MS 윈도의 점유율이 90%를 넘지만 스마트폰·태블릿 등 전체 디바이스 시장에서 MS의 비중은 고작 14%에 지나지 않는다”며 “MS는 이를 끌어올리기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손해용 기자 hysoh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