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률 년 10%이하 될 때까지 금리 인상·환율조정 않는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유고」와 직접교역타진>
김원기 재무부장관은 『금리와 환율의 조정은 물가안정의 기틀이 잡힌 다음에야 고려해 볼 수 있는 문제』라고 말하고 『현 단계에선 금리인상이나 환율조정건의는 정책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분명히 밝혔다.
「유고슬라비아」의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금년도 IMF(국제통화기금) 및 IBRD(세계은행)합동총회에 참석하고 8일 저녁 귀국한 김 장관은 김포공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제2차 「오일·쇼크」로 인한 물가앙 등을 진정시키는 작업이 진행중인데 지금 금리를 인상하게되면 그대로 물가에 파급된다』고 지적하고 『현 단계에서 금리인상은 득보다 실이 많아 손대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물가안정의 기틀이 잡힌다는 것은 연간 물가상승율이 10%대 이하로 떨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그 다음에야 금리나 환율의 조정을 생각해볼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KDI(한국개발연구원)에서 금리를 인상해야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순수 학자적인 측면에서 저축측면만 보고 하는 얘기이며 저축여력이 없는 민생의 안정을 기해야하는 마당에 물가인상을 자극할 금리인상은 정책으로 채택할 수 없다고 밝혔다.
환율문제에 대해서 김 장관은 이번 IMF총회 참석기간 중 한국의 환율문제거론은 일체 없었으며 오히려 IMF측은 각 국이 환율경쟁을 일으키지 않도록 권고하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IMF총회성과에 대해 김 장관은 SDR(특별인출권)대체계정을 설치하는데 원칙합의를 보았으나 국제유동성으로서의 부족 및 구체적인 활용방안 등에서 더 검토해야할 문제가 많아 내년 4윌「함부르크」에서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김 장관은 「유고」에 머무르는 동안 한국대표단은 「유고」의 재무성 및 국영은행책임자들과 여러번 고무적인 접촉을 가졌다고 밝히고 잘되면 한국과 「유고」가 직접 교역을 하는 길이 트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고」측의 태도는 매우 우호적이라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IDA(국제개발협회)에 한국이 3백만「달러」를 출연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