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축 정착화 … 상품재고 급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최근 각종 경제지표는 전체경제가 전형적인 경기하강국면으로 접어들고 있음을 알리고 있다. 그 동안 계속되어온 금융긴축의 영향이 완연히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6일 관계당국에 따르면 소비규모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매액지수 (서울지방)증가율이 지난3월 전년동기비 13%를 기록한 이후 급격히 떨어져 4월에는 1.4%, 5월에는 0.3%까지 떨어졌고 소매액지수증가율도 3월의 전년 동기비 3.9% 이후 4월의「마이너스」 2.8%, 5월의 「마이너스」 4.5%로 급격한 감소현상을 보이고 있다.
긴축의 효과로 시중에 돈이 귀해지자 사람들이 소비규모를 줄이고 있기 때문이다. 즉 수요가 줄고있다는 뜻이다.
수요가 줄면 생산도 따라서 줄게 마련이다. 총산업생산증가율을 보면 지난2월 전년동기비 29.2%증가를 기록한 이후 계속 떨어져 5월에는 16%증가에 그쳤다.
지난해 5월의 27.9%에 비하면 생산이 크게 둔화된 것이다.
한편 이 같은 생산조절에도 불구하고 상품재고는 계속 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이후 일부품목에서는 품귀현상까지 빚으면서 계속「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재고가 3월부터 늘기 시작, 4월에는 전년동기비 17.1%, 5월에는 27.2%까지 뛰어 올랐다.
이 같은 최근의 경제흐름은 긴축 → 수요억제 → 생산둔화 → 재고 누증의 과정을 밟고 있다는 점에서 그 동안의 긴축정책이 일만 정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지만 긴축 속에서 블가피 부작용인 생산둔화가 계속 심학될 경우 심각한 불황사태로 빠져들 가능성이 짙다고 일부전문가들은 걱정하고 있다.
학계와 관계전문가들에 따르면 그 동안의 긴축으로 초과수요에 의한 물가상승요인은 많이 제거됐으나 원유가 인상 등에 따른 원가압력이 크게 작용하고 있어 금융긴축만으로는 물가를 잡을 수 없는 「딜레머」에 빠져있다고 지적하면서 자칫하면 불황과 「인플레」를 함께맞을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관계당국은 그 동안의「긴축효과 중간분석」을 통해 긴축효과가 유통부문뿐만 아니라 생산부문에까지 파급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하반기긴축계획을 조정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