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경기장 시설 아직 부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전국의 체육시설은 서울운동장을 비롯, 8개의 종합 경기장과 31개의 공설운동장 및 25개의 실내체육관이 있어 총 수용인원이 96만3천6백 명으로 집계됐다.
대한체육회가 78년도를 기준으로 하여 전국의 체육시설과 이에 따른 수용인원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11개 시·도 중 종합경기장을 확보하고 있는 시·도는 8개 시·도 뿐이며 이 밖은 공설운동장을 보유, 전국체전 같은 종합대회를 치를 수 없는 형편이다.
그밖에 최근 실내체육관 건설이 다소 활기를 띠어 25개에 이르고 있지만 외국에 비하면 아직도 요원하다.
시·도별 체육 시설을 보면 경북이 대구종합경기장을 비롯, 28개의 체육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양적인 면에서는 전국 1위로 올라있다.
경북에 이어 서울이 11개, 경기가 10개의 시설을 갖고 있는데 경남·충북·제주 등 3개 도는 종합경기장이 없어 전국 규모 대회 개최가 불가능한 현실이다.
또 실내 체육관은 25개에 이르고 있으나 「스위스」 경우 인구 8백명 이상 2천명까지의 지역에 체육관 1개, 2천∼5천명의 지역에 2개, 5천∼8천명의 지역엔 3개를 최저의 요건으로 하고 있으며 인구 1만5천명의 지역에는 25×15m의 수영장을 세워야하게 되어있다.
이 기준을 서울에 적용한다면 인구 7백만으로 하여 25m 수영장이면 4백60개, 50m 수영장이면 2백30개가 있어야 한다는 통계가 나온다.
◇체육시설 현황
▲서울=서울운동장 효창운동장 장충 및 문화체육관 잠실학생체육관 태릉수영장 「스케이트」장 사격장 국기원 YMCA 동대문 「스포츠·센터」
▲부산=구덕종합경기장 및 실내체육관
▲경기=인천종합경기장, 수원 의정부 시흥공설운동장, 선인실내체육관 궁도장 사격장, 수영장
▲전북=종합경기장, 전주 및 전북체육관
▲충남=대전 및 천안공설운동장
▲충북=청주 및 충주공설운동장, 충북체육관
▲전남=광주 목포공설운동장, 광주실내체육관
▲경북=대구 포항종합경기장, 포항 영천 김천 황성 안동 상주 영주 문천 동해 오천 구룡포 의창 청하공설운동장, 경북 의성 고령 선산 경주 울릉 김천 예천체육관 등
▲경남=마산 울산 진주 진해 남해 의령공설운동장
▲강원=강원종합운동장, 속초 횡성 공설운동장, 춘천 속초 실내체육관, 대관령 용평 진부령 「스키」장
▲제주=공설운동장, 한림읍민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