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장」의 산실…창원 기능 대학|80년 개강 앞두고 입시 요강 등 확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우리 나라 기능자의 최고 자격인 기능장을 양성하기 위한 2년제 창원 기능 대학 (학장 오현위)이 80년3월부터 교육을 시작한다.
7일 기능 대학에 따르면 설치 학과는 기계 공작과·기계 정비과·금속 가공과·전자 기기과·전주 기기과·통신 기기과·화학 공정과 등 7개과 11학급 (각 40명 내외)이며 우선 80년에는 기계 공작과 (3학급) 기계 정비과 (2학급) 금속 기공과 등 3개과 6학급이 1차로 개설되고 81년에 전자 기기과, 82년에 전기 기기과 (2학급) 통신 기기과 그리고 83년에 화학공정과가 각각 개설, 85년부터는 매년 4백40명의 기능장 요원을 배출한다는 것이다.
80년에 개설되는 3개 과의 입학 시험은 1차 시험 (서류 심사)과 2차 시험 (필기·면접)으로 나눠지며 시험 과목은 수학과 영어. 필기시험은 79년11월15일 (원서 접수는 79년10월1일부터 31일까지)
서울·대전·창원에서 실시하며 발표는 11월26일에 있을 예정이다.
입학 자격은 기능사 1급 자격 취득자에 한하고 소속 기관장의 추천을 받아야되며 성별과 연령의 제한은 없다.
기능사 (1급)의 자격 종목에 따라 지원과가 구분되는데 기계 공작과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 종목은 선반·기계 제도·용접·배관·일반 판금 등 22개 종목이며 기계 정비과는 중기정비·고압「가스」기계·기관 정비·철도 동력차 등 17개 종목, 금속 가공과는 전기 도금·목형·제강·주물·조형 열 처리 등 13개 종목이다.
기능 대학의 수업 시간은 주간부가 상오 8시 반부터 하오 5시까지, 야간부가 하오 5시10분부터 10시까지 (토요일은 하오 3시부터 10시까지)이며 교양·경영 관리·전공 과목의 교과목 구성비는 47대 27대 82로 확정됐다.
학생은 국비 장학생·산학제 학생·대여 장학생으로 구분하나 당분간은 모두 국비 장학생으로 모집하며 전원 기숙사에 수용할 예정이다.
그런데 국가 기술 자격법에 의한 기능장 자격은 기능사 1급 자격 취득 후 7년 이상 (반드시 기능 대학을 이수해야 하며 재학 기간은 실무 기간에 포함)의 실무에 종사하고 소정의 검정 기준과 시험 과목에 따라 실시하는 검정에 합격해야 취득할 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