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보호제도|뜻은 커도 실효는 적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생활무능력자와 저소득자등 영세민 진료를 위해 보사부가 작년 1월부터 실시하고있는 의료보호제도는 영세민들의 인식부족으로 진료 이용도가 낮고 참가진료기관의 불성실과 의료기관의 지역분포 불균형, 의료보호사업을 담당하고있는 일선행정관청의 인원·장비부족 등 문제점이 많아 이의 시경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 같은 사실은 보사부산하 사회보장 심의위원회가 작년 한해동안의 의료보호 사업실적을 분석한「의료보호제도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서 밝혀졌다.
이 보고서는 의료보호진료 이용율이 예상외로 낮은 이유로 ▲완치의 가능성이 적은 만성질병에 대한 진료억제 방침과 ▲1·2차 진료기관을 구분, 지정해 2차 진료는 반드시 1차 진료기관을 거치도록 해서 진료의 남용을 막은 점 ▲각종 법정전염병환자를 진료대상에서 제외한 점 ▲의료보호대상인 생활무능력자는 경제적 하위 계층이므로 의료기관이 용도가 낮다는 것 등을 지적했다.
이 밖에도 ▲일선행정관청의 인원·장비부족으로 행정적 뒷받침이 되지 않으며 계몽활동이 부족하고 ▲의사의 불친절과 지정의료기관을 지역적으로 골고루 배치하지 못했고 ▲농어촌주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보건소의 인력과 시설이 모자라는 점등이 지적됐다.
이 자료에 따르면 보사부는 작년상반기 중 연4백69만3천명의 의료보호환자들이 진료를 받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실제로는 45·9%인 2백15만6천명(외래예상의 50%, 입원 20·1%)만이 진료를 받는 등 진료 실적이 낮았다.
연구「팀」은 의료보호제도의 개선을 위해 이 문제점들을 먼저 시정할 것과 ▲주민등록증에 의료보호대상자임을 표시, 거주지역이 아닌 곳에서도 진료를 쉽게 받을 수 있게 하고 ▲의료보험 확대 등으로 보호대상자에 대한 국가의 보호책임완수 ▲의료보호금고의 독립경영 등을 추진토록 보사부에 건의했다.
의료보호대상환자의 진료실적이 부진한 것은 계몽부족과 진료기관 빈약 등이 원인으로 지적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