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류쓰는 대형건물의 보일러 LP, 가스로 점화키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서울시는 10일 난방용으로 「벙커」 C유나 경유를 사용하면서 시간당 1천kg이상의 종기를 발생하는 대형건물의 「보일러」점학방식을 유류에서 LP「가스」로 바꾸고 「보일러」가동방식도 현재의 수동식에서 자동식으로 바꾸기로했다.
서울시는 이제도의 전면실시에 앞서 서울시청에 이시설을 설치하고 종로1∼2가, 태평로1가, 소공동·명동관내 5층이상 건물의「보일러」를 9월안으로 모두 이기준에 맞게 개선토록건물주에게 지시했다.
이는 현재 대부분 이용하고 있는 유류점화방식과 수동식가동으로 ▲기름의 완전연소가 이루어지지않아 아황산 「가스」가 많이 배출, 공해의 중요 원인이 되고 ▲작동이 수동식이므로 가동이 불완전해 항상 사고의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현재 시내에는 시간당 증기발생량이 1천kg이상되는 「보일러」가 2천4백73개 있는데 이가운데 95%가 경유로 점화되고 65%가 수동식으로 가동된다.
서울시가 시험적으로 실시할 종노·중구지역 5개동에는 현재 대상건물 2백18동에 2백77개의 대형 「보일러」가 있으며 이 가운데 93%인 2백60개가 경유로, 5·7%인 16개가「벙커」C유로 점화되고 69%인 1백92개가 수동식으로 가동된다.
서울시 관계자에 따르면 겨울철 점화를 경유로하고 「보일러」를 수동식으로 가동할 경우1%의 아황산 「가스」를 배출하나 점학시설을 LP「가스」로 바꾸고 가동을 자동식으로 할 경우 아황산 「가스」 배출량은 0·02%밖에 안돼 공기오염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자동식 가동시설은 가동「스위치」하나만으로 송풍·급수·압력차단등의 기능을 기계적으로 하게되므로 「보일러」폭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점화방법을 기름에서 LP「가스」로 바꿀 경우 8만5천원, 가동방식을 수동식에서 자동식으로 바꿀경우 1백만원이상의 시설비가 필요해 문젯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